분류 전체보기 1432

나병

나균에 의해 감염되는 만성 전염성 질환을 한센병이라고 합니다. 6세기에 처음 발견된 병이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24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연간 1만 명당 1건 미만으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입니다. 나균은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의 점막을 침범하여 조직을 변형시키게 됩니다. 한센병이라는 명칭은 노르웨이 의사 한센에 의해 나환자의 결절에서 나균이 처음 발견된 것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한의학에서는 가라, 풍병, 대풍라 등으로 불렸고, 과거에는 문둥병 또는 천형병으로 불렸습니다. 현재는 일부 학술적 분야에서는 나병으로 하되, 사회적 분야에서는 한센병으로 통칭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나병이란 용어가 편견과 차별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 발병위치 : 피부, 말초신경계, 상기도 전 세계..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백선

백선(白癬, dermatophytosis) 또는 링웜(ringworm)은 피부의 진균 감염이다.[2] 일반적으로 빨갛고 간지럽고 비늘진 원형 피부 발진이 발생한다.[1] 발병 부위에 탈모가 발생할 수 있다.[1] 증상은 노출된지 4~14일 내에 시작한다.[1] 그 동안 여러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다.[4] 약 40종의 균류가 백선을 유발할 수 있다.[2] 이 균들은 보통 트리코피톤, 작은포자균, 표피사상균형이다.[2] 위험 요인으로는 공용 샤워실 사용, 레슬링 등의 접촉 운동, 과도한 땀, 소버짐병에 발병되었거나 감염된 동물과 직접 접촉, 비만, 억제된 면역 기능이 포함된다.[3][4] 백선은 다른 짐승에게서 또는 사람 간에 퍼질 수 있다.[3] 진단은 종종 외관 및 증상에 기반하여 수행된다.[5] 미생..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중이염

[귀의 구조와 기능] 귀는 소리를 듣고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기관입니다. 귀는 해부학적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는데 귓바퀴에서 고막 직전까지를 외이(外耳), 고막에서 달팽이관까지를 중이(中耳) 그리고 소리를 듣게 해주는 달팽이관과 청신경 그리고 평형감각을 돕는 반고리관을 합한 내이(內耳)로 구분합니다. 귀의 해부학적 구조 소리를 듣는 과정은 먼저 음파가 외이의 첫 관문인 귓바퀴에 도달하면서 시작됩니다. 귓바퀴에서 모아진 소리는 고막을 울리고, 중이에 위치한 귓속뼈(이소골; 耳小骨)들은 고막의 진동을 증폭시켜 내이에 속하는 달팽이관에 전달합니다. 이때 달팽이관은 음파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이 신호가 청신경을 거쳐 뇌에 도달하면 소리로 해석되는 것입니다. 중이는 고막에서 시..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티눈(굳은 살)

건강백과 DataLab.지식리스트수정문의공유인쇄글꼴가- 글꼴 작게가+ 글꼴 크게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티눈 및 굳은 살 [ corn, callus ] 요약 티눈은 압력으로 인해 피부 각질층이 원뿔모양으로 두꺼워지는 질환이며 굳은살은 지속적인 피부의 압박이나 마찰로 인해 피부가 두꺼워지고 단단해진 것 진료과 피부과 관련 신체기관 피부 목차 정의원인증상진단/검사치료경과/합병증예방방법식이요법/생활가이드 정의 티눈은 손과 발 등의 피부가 기계적인 자극을 지속적으로 받아 작은 범위의 각질이 증식되어 원뿔모양으로 피부에 박혀 있는 것을 말합니다. 위에서 누르면 아픈 특징이 있고, 티눈을 깎았을 때 중심핵이 보입니다. 굳은살은 지속적인 피부의 압박이나 마찰로 인해 피부의 일부가 두꺼워지고 단단해지는 것을 말하며, ..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습진

정의 습진은 공통적인 임상적, 조직학적 특징을 보이는 피부 질환군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피부 증상을 살펴보면 초기에는 주로 가려움과 함께 물집 구진, 홍반, 부기 등이 관찰되며 만성기에는 부기, 물집은 줄어드는 대신 피부 주름이 두드러지거나 피부가 두꺼워지는 태선화, 비늘, 색소침착 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피부염과 습진은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으나, 피부염은 모든 염증을 지칭하는 용어로 엄밀한 정의로는 피부염이 습진보다 더 넓은 의미를 가진다. 습진 습진 하위질병 접촉피부염, 자극 접촉피부염, 알레르기 접촉피부염, 광독성 및 광알레르기 접촉피부염, 접촉 두드러기 증후군,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물집 습진, 동전모양 습진, 자가감작 피부염, 자가면역 프로게스테론 피부염, 건성 습진,주부습진, 울체..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물리치료

2. 검사 3. 근·골격계 물리치료 3.1. 온열치료 3.1.1. 적외선치료 3.1.2. 온습포치료 3.2. 한랭치료 3.2.1. 냉습포치료 3.3. 전기치료 3.3.1. 초음파치료 3.3.2. 간섭파치료 (ICT) 3.3.3. 경피신경자극치료(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3.3.4. 전기근육자극(Electrical Muscle Stimulation, EMS) 3.3.5. 기능적전기자극(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 3.3.6. 레이저치료 3.4. 체외충격파치료 (ESWT) 3.5. 테이핑 요법 3.6. 도수치료 3.7. 스트레칭 3.8. 재활 역학치료 3.8.1. 공간척추교정 3.8.2. 다리교정 (..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대동맥 파열

1. 개요[편집]대동맥 파열(Aortic rupture)은 대동맥이 외상(traumatic) 및 기타 질병 등의 원인으로 찢어지는 것을 말한다.2. 외상성 대동맥 파열[편집]외상성 대동맥 파열의 55%-90%[1] 내외는 대동맥협부(aortic isthmus, 대동맥잘룩)에서 보고되며, 10%-15%는 상행 대동맥과 대동맥활에서 보고된다. 이들은 대개 자동차 충돌 또는 추락과 같은 급성 감속성 손상(acute deceleration injury)이나 강한 충격에 따른 압박 손상(crushing injury)에 의해 발생한다.파열의 정도가 완전한 횡절단(transection)이 발생한 경우 환자 대부분은 병원에 이송되기 전 사망하며, 병원까지 살아서 도착하는 경우는 약 10~15% 내외로 보고되어 있다. ..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급성 백혈병

역사[편집]Alfred Velpeau백혈병에 관해서 처음으로 발표된것은 1827년이었다. 프랑스 외과의 Alfred-Armand-Louis-Marie Velpeau는 63세의 원예가가 열, 허약, 요석, 그리고 간과 비장의 비대한것을 기술했다. Velpeau는 이 환자의 혈액은 "귀리죽"과 같고, 이것이 백혈구 때문이 아닌가 추측했다.[1] 1845년 비장의 비대로 죽은 환자들이 그들의 혈액의 색이 모두 같았음이 J.H. Bennett에 의해 보고되었다. 그는 이 병리학적 상태를 "leucocythemia"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2]"백혈병"이라는 용어는 1856년 저명한 독일의 병리학자 Rudolf Virchow가 만들었다. 병리학에 광학현미경을 사용한 선구자로서, Virchow는 Velpeau와 B..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A형 독감

최근 몇 주 사이 호치민시에 A형 바이러스에 의한 독감이 유행하고 있음이 본 의료진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A형 독감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강하며 일반 감기에 비해 증상이 심하게 나타납니다.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이 심하게 나타나는 환자는 외부에 추가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니 외출을 삼가셔야 합니다.A형 독감은 무엇인가?A형은 독감은 감염되기도 쉽고, 다른 사람에게 쉽게 전염됩니다. 새, 돼지 같은 동물에게 전염되어, 광범위하게 퍼져나갈 수도 있습니다. A형 독감은 얼핏 일반 감기와 비슷하지만 증상이 훨씬 심하며 폐렴이나 패혈증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접종과 개인위생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A형 독감에 걸렸을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증상이 나타납니다.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카테고리 없음 2024.06.09

Rh식 혈액형

3.2. 가상 인물1. 개요[편집]혈액형의 하나. ABO식 혈액형과는 별개로 있는 혈액형이다. 1940년에 발견되었고, 발견자는 ABO식 혈액형을 발견한 카를 란트슈타이너 등이다. 명칭의 유래는 이 혈액형을 검출하는 데 쓰이는 항혈청을 얻기 위한 동물인 붉은털원숭이(Rhesus monkey)[1]의 앞문자에서 따온 것.히말라야원숭이(붉은털원숭이)의 혈구로 면역을 준 토끼의 혈청에 사람의 혈액을 반응시키면 혈구가 응집하는 경우가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응집하면 이를 Rh+로, 응집하지 않으면 Rh-로 분류한다. (아래에서 서술하겠지만, 그 외에도 몇 가지 형태가 더 있다)2. 종류 및 특성[편집]크게 Rh+형과 Rh-형으로 나눈다. 이중 Rh+ 형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전세계적으로 85% 정도가 ..

카테고리 없음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