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펼치기 · 접기 ]
|
한국의 콩류 요리
|
[ 펼치기 · 접기 ]
|
한자로는 빈자병(貧者餠)이라고 일렀다.
본시 빈민들이 부유한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먹고 남긴 돼지기름과 남은 고기 찌꺼기를 응용한 요리로서, 돼지기름을 두르고 고기 찌꺼기와 녹두 반죽을 섞어 부쳐 최대한 돼지고기의 맛을 구현하려 했던 것이 그 시초이다. 실제로 돼지기름을 둘러 제대로 구우면 돼지고기 맛이 난다고 한다. 그리고 녹두는 단백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사실상 진짜 고기를 먹는 것과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영양 분포가 특징.
빈대떡이 최초로 등장한 기록은 1517년 빙져라는 이름으로, 녹두와 찹쌀을 갈아서 부친 전으로 소비되었다. 당시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서 주로 먹던 간식으로, 황해도에서는 막부치, 평안도에서는 지짐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서북 지방의 빈대떡은 오늘날 서울 것보다 크기는 3배, 두께는 2배로 훨씬 컸다.
빈대떡이 본격적으로 한반도 남부지방에도 퍼진 것은 해방 전후이다. 당시 서울에서는 빈대떡의 필수요소인 돼지기름없이 녹두와 야채만으로 값싸게 먹었는데, 이를 두고 월남해 온 평안도나 황해도 사람들이 돼지고기는커녕 돼지기름도 없는 것이 어찌 빈대지짐이냐고 비웃었다고 한다.
1960년대 이전까지 녹두가 주원료인 빈대떡은 밀가루가 주원료인 다른 부침개보다도 저렴한 편이었으나, 요즘에는 녹두 값이 되려 밀가루보다 훨씬 비싸져서, 더 이상 옛날처럼 마냥 저렴한 부침개 요리 취급을 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특히 빈대떡에 맛을 제대로 내려면 돼지고기(특히 돼지비계)를 갈아 넣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더 비싸지고 있다. 게다가 외식에서 술안주 음식 전반의 가격이 비싸지면서 녹두전도 술안주 프리미엄이 붙어 더욱 비싸졌다.
그래도 싼 요리라는 인식은 지금도 이어져, 대학가에서 전집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물론 지금 기준으로 보면 가격이 그리 싸지는 않지만.
본시 빈민들이 부유한 사람들이 돼지고기를 먹고 남긴 돼지기름과 남은 고기 찌꺼기를 응용한 요리로서, 돼지기름을 두르고 고기 찌꺼기와 녹두 반죽을 섞어 부쳐 최대한 돼지고기의 맛을 구현하려 했던 것이 그 시초이다. 실제로 돼지기름을 둘러 제대로 구우면 돼지고기 맛이 난다고 한다. 그리고 녹두는 단백질이 풍부하기 때문에 사실상 진짜 고기를 먹는 것과 크게 차이 나지 않는 영양 분포가 특징.
빈대떡이 최초로 등장한 기록은 1517년 빙져라는 이름으로, 녹두와 찹쌀을 갈아서 부친 전으로 소비되었다. 당시 평안도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서북부 지역에서 주로 먹던 간식으로, 황해도에서는 막부치, 평안도에서는 지짐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서북 지방의 빈대떡은 오늘날 서울 것보다 크기는 3배, 두께는 2배로 훨씬 컸다.
빈대떡이 본격적으로 한반도 남부지방에도 퍼진 것은 해방 전후이다. 당시 서울에서는 빈대떡의 필수요소인 돼지기름없이 녹두와 야채만으로 값싸게 먹었는데, 이를 두고 월남해 온 평안도나 황해도 사람들이 돼지고기는커녕 돼지기름도 없는 것이 어찌 빈대지짐이냐고 비웃었다고 한다.
1960년대 이전까지 녹두가 주원료인 빈대떡은 밀가루가 주원료인 다른 부침개보다도 저렴한 편이었으나, 요즘에는 녹두 값이 되려 밀가루보다 훨씬 비싸져서, 더 이상 옛날처럼 마냥 저렴한 부침개 요리 취급을 하기는 어렵게 되었다. 특히 빈대떡에 맛을 제대로 내려면 돼지고기(특히 돼지비계)를 갈아 넣어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더 비싸지고 있다. 게다가 외식에서 술안주 음식 전반의 가격이 비싸지면서 녹두전도 술안주 프리미엄이 붙어 더욱 비싸졌다.
그래도 싼 요리라는 인식은 지금도 이어져, 대학가에서 전집의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물론 지금 기준으로 보면 가격이 그리 싸지는 않지만.
어원에 대한 여러 가설이 있다.
-
'명물기략'에는 중국의 콩가루떡인 '알병'의 '알'자가, 빈대를 뜻하는 '갈(蝎)'로 와전되어서 빈대떡이 되었다는 설.
-
18세기 서명응이 지은 '방언집석'에서는 녹두를 주재료로 하는 '빙저'라는 지짐이가 한반도로 흘러 들어와 '빙쟈'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이 말이 세월이 흘러 빙자떡→빈자떡→빈대떡으로 바뀌었다는 설.
-
탈북자 출신 가수 김용이 자신의 수기인 《머리를 빠는 남자》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북한 사람들에게 「빈대떡」이라는 이름은 몹시 생소하고 기이하게 느껴진다고 한다. 구체적인 일화를 보면 한국 생활 중 사귄 친구와 함께 술자리를 가지게 되었을 때 술집의 메뉴판에 나와있는 빈대떡을 보고 "설마 피를 빨아먹는 벌레인 빈대로 음식을 하지는 않을 텐데, 이건 대체 뭐냐?"고 친구에게 물어본 것. 그러자 장난기가 많던 친구는 "보통 흔한 빈대가 아니라 먹으려고 따로 키운 고급 식용 빈대로 만드는 음식"이라며 "식용 빈대는 크고 넓적하고, 달큰한 맛이 아주 일품이니 한번 먹어보자"고 정줄놓은 개드립을 마구 쳐댄 것이다. 김용 자신은 정말 빈대를 요리해 먹는다는 이야기에는 반신반의했지만 북한에서 생활하던 당시 빈대에 시달리던 생각에 빈대를 정말 잡아먹는다는 생각만 해도 끔찍해 진저리를 쳤다고 한다. 그리고 술과 안주가 나오고 한참 먹고 마시던 와중, 빈대떡이라는 이름을 듣고 생각한 만큼 이상한 요리는 보이지 않자 "내가 싫다고 하니 빈대떡은 안 시켰냐?"고 친구에게 물어봤고, 이에 친구의 대답은 "지금 네가 맛있게 먹고 있는 그게 바로 빈대떡"이라는 것. 그리고 이에 김용은 "이게 무슨 빈대떡이냐. 이건 남새(야채)혼합지짐이다"라고 대답했으며 친구는 오히려 '야채혼합지짐'이라는 직설적인 이름이 재미있다며 웃었다고 한다. 사실 북한에서도 녹두지짐(녹두전)은 식당에서도 팔고, 평양온반의 구성요소 중 일부이기도 한 일반적인 요리이므로 김용 자신도 맛있게 먹은 것은 이상하지 않은 일이지만 빈대떡이라는 명칭 자체는 서울에서나 쓰는 명칭이었고 북한에서는 녹두지짐, 막부치, 지짐 등의 표현을 사용했기 때문에 그 명칭을 생소하게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만 책의 내용을 보면 '한국(남한)도 예전에는 가난했던 시절이 있었으니 그 시절에는 먹을 것이 없어 빈대까지 요리해서 먹다가 잘 살게 된 이후 제대로 된 요리를 만들게 되었는데도 그 이름은 남은 것이 아닐까?'라는 해괴한 상상까지 남길 정도로 빈대떡이라는 이름은 대단히 기묘하게 느껴졌던 것으로 보인다.
떡으로 끝나는 이름과는 다르게, 실제로는 떡이 아닌 부침개의 일종이며, 기름기가 많고 고소한 맛이 강해 술안주로도 사용된다. 경기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제사상에 올리기도 한다. 식감은 밀가루로 만든 전 종류가 쫄깃한 느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이쪽은 포슬포슬 부서지는 느낌이다.
부침 안의 재료들이 기름을 전부 빨아들이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튀김보다도 칼로리가 높고 더 기름지다.
외국인들도 좋아하는 한국 음식으로, 특히 영화 감독 팀 버튼이 한국에 방문했다가 시장에서 막걸리와 함께 먹었던 음식으로 유명세를 탔다. 팔라펠과도 맛이 어느정도 비슷해서 중동인들도 적응하기 쉬운 음식이다.
일본 만화 맛의 달인에서는 한국식 오코노미야키라고 소개된다. 기름을 살짝 두른 철판에 당근과 부추가 들어간 밀가루 반죽으로 부침개를 만들고 그것을 큼직하게 자른 뒤 그 위에 다진 김치를 얹어서 먹는 식으로 나온다.
1박 2일 시즌 1 이심전심퀴즈에서[3] "한국의 대표 음식"이라는 문제에 대부분 김치를 적었는데, 이수근은 비빔밥을 적었다. 가관인 건 은지원은 빈대떡을 적었고 '이게 한국의 피자잖아!'라고 하는 것은 덤.[4]
가족오락관 886회(2002 신년특집)에서 한샘이 '빈대떡은 맛있다'로 말해 양팀 출연자들이 웃음바다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