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
미나리
Java water-dropwort |
|
|
|
학명
|
Oenanthe javanica
(Blume) DC. 1830 |
분류
|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쌍떡잎식물군(Eudicots)
|
|
국화군(Asterids)
|
|
미나리목(Apiales)
|
|
미나리과(Apiaceae)
|
|
미나리속(Oenanthe)
|
|
미나리(O. javanica)
|
미나리목 미나릿과 미나리속 여러해살이 풀. 주로 동아시아에서 재배한다. 미나리를 재배하는 논을 미나리꽝이라고 한다.
20~50cm 정도 길이로 자라며, 꺾어 보면 줄기 속은 비어 있다. 7~9월에 하얀 꽃이 핀다.
20~50cm 정도 길이로 자라며, 꺾어 보면 줄기 속은 비어 있다. 7~9월에 하얀 꽃이 핀다.
특유의 향 때문에 생으로 먹거나 각종 요리에 쓰인다. 특유의 탄성이 있어서 다른 나물과는 달리 식감이 은근히 질기다.[1] 이 때문에 유부주머니 같은 요리에서 속을 채운 뒤 입구를 봉하고 또한 먹을 수도 있는 끈으로도 많이 쓰인다.[2] 주로 무쳐서 나물로 해서 먹거나, 생선 등을 이용한 탕, 국 요리의 비린 맛을 제거하는 데 많이 사용한다. 그야말로 한국 요리의 허브.
조선 궁중 요리 중에는 데친 미나리로 소고기나 계란지단을 돌돌 말아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미나리강회가 있는데, 한식조리기능사 실기에도 나오는 레시피이다. 미나리 향이 원체 강해서 초고추장의 강한 향에도 밀리지 않고 되려 초고추장을 이길 정도. 새콤한 초고추장의 맛과 잘 어울린다. 삼겹살과도 잘 어울리는데, 구운 삼겹살에 생 미나리를 둘둘 말아 먹는다. 봄철 미나리와 삼겹살은 별미다. 대구 근교, 경남 지역에 가면 봄철에 새로 난 햇미나리와 삼겹살을 파는 가게들이 있는데, 생산량이 많지 않고 짧은 기간 동안에만 먹을 수 있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비싸게 받는 데다가 비위생적으로 다루는 집도 있어 문제가 되기도 했다.
미나리로 전을 부치기도 하는데, 물기도 많고 향도 강해 평이 갈린다. 그리고 만들기 까다롭다. 그리고 고수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듯이 미나리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 대부분은 향이 좋긴 한데 너무 강하다고 느끼거나, 또는 애초에 향이 있는 음식이나 나물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거부한다.
논처럼 물을 대어 기르거나 아예 무논에다 기른다. 무논과 비슷한 습지에 미나리를 기르는 곳을 미나리꽝[3]이라고 한다. 이곳은 말 그대로 습지나 다름없기 때문에 거머리 등이 붙어서 오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하며, 농약도 많이 치는 편이므로 잘 씻어서 먹을 것.
미나리꽝이 아닌 일반 밭에서 자라는 미나리는 '돌미나리'라고 달리 부르며, 미나리꽝에서 키운 물미나리보다 작고 식감이 질긴 대신 향이 더 강하다.
미나리는 벌레와 질병에 저항력이 강하고 생명력이 끈질기며 물을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근대에 미나리꽝은 지금의 하수처리장 같은 역할도 겸했다. 오폐수를 집의 미나리꽝에 버리거나, 마을을 가로지르는 하천이 큰 강으로 이어지기 전에 미나리꽝을 거쳐 가도록 해서 오폐수를 버리면 물을 따라 죽 흘러가다 미나리꽝에서 정화된 후 나가는 식.[4]
조선 궁중 요리 중에는 데친 미나리로 소고기나 계란지단을 돌돌 말아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미나리강회가 있는데, 한식조리기능사 실기에도 나오는 레시피이다. 미나리 향이 원체 강해서 초고추장의 강한 향에도 밀리지 않고 되려 초고추장을 이길 정도. 새콤한 초고추장의 맛과 잘 어울린다. 삼겹살과도 잘 어울리는데, 구운 삼겹살에 생 미나리를 둘둘 말아 먹는다. 봄철 미나리와 삼겹살은 별미다. 대구 근교, 경남 지역에 가면 봄철에 새로 난 햇미나리와 삼겹살을 파는 가게들이 있는데, 생산량이 많지 않고 짧은 기간 동안에만 먹을 수 있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비싸게 받는 데다가 비위생적으로 다루는 집도 있어 문제가 되기도 했다.
미나리로 전을 부치기도 하는데, 물기도 많고 향도 강해 평이 갈린다. 그리고 만들기 까다롭다. 그리고 고수를 싫어하는 사람이 있듯이 미나리를 싫어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 대부분은 향이 좋긴 한데 너무 강하다고 느끼거나, 또는 애초에 향이 있는 음식이나 나물을 싫어하는 사람들이 거부한다.
논처럼 물을 대어 기르거나 아예 무논에다 기른다. 무논과 비슷한 습지에 미나리를 기르는 곳을 미나리꽝[3]이라고 한다. 이곳은 말 그대로 습지나 다름없기 때문에 거머리 등이 붙어서 오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해야 하며, 농약도 많이 치는 편이므로 잘 씻어서 먹을 것.
미나리꽝이 아닌 일반 밭에서 자라는 미나리는 '돌미나리'라고 달리 부르며, 미나리꽝에서 키운 물미나리보다 작고 식감이 질긴 대신 향이 더 강하다.
미나리는 벌레와 질병에 저항력이 강하고 생명력이 끈질기며 물을 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근대에 미나리꽝은 지금의 하수처리장 같은 역할도 겸했다. 오폐수를 집의 미나리꽝에 버리거나, 마을을 가로지르는 하천이 큰 강으로 이어지기 전에 미나리꽝을 거쳐 가도록 해서 오폐수를 버리면 물을 따라 죽 흘러가다 미나리꽝에서 정화된 후 나가는 식.[4]
-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5]가 원산지이지만 아메리카에서도 자라는데 이는 재첩과 같은 다른 몇몇 생물처럼 화물선을 타고 우연히 건너간 것이 아니며, 미 동부 캘리포니아와 샌디에이고 한인회의 썰에 따르면, 이는 한인회의 부회장인 이영희 씨가 11개월 된 아들을 데리고 한국의 친정에 방문했다가 친정 엄마가 해준 동치미에 들어있던 미나리가 너무나 맛있어서 미국에 있는 자기 집에서 키우고 싶었고, 어떻게 하면 공항 검역을 피해 몰래 밀반입을 할 수 있을까 잠도 자지 않고, 밤새 고민한 결과 11개월 아들이 똥을 싼 기저귀 안에 미나리 모종을 숨겨서 가져와서 심은 것이 아메리카에 퍼졌다고 한다. 한국일보
-
과거에는 논에서 키우는 미나리가 워낙 많았던 고로, 거머리가 붙어있는 경우가 정말 많았다. 다만 최근에는 논보다는 밭에서 주로 기르기 때문에 미나리에서 거머리가 나오는 경우가 훨씬 줄었다
더불어 농약도 만만찮게 치고. 그래도 혹시 모르니 잘 살펴보고 먹자. 데치거나 탕에 넣을 경우 잘 보이지도 않을 정도로 작은 거머리 좀 먹었다고 무슨 일은 없겠지만(..)..
-
중세 유럽에서는 인도에서 들여온 말린 미나리가 후추에 필적하는 귀한 대접을 받았으나, 남부 유럽에 미나리가 전파되어 재배되자 그 가치가 급격히 떨어졌다.
-
같은 미나리과 풀로 독미나리(Cicuta virosa L.)가 있다. 이름 그대로 독초인데, 미나리와 모습이 매우 흡사하며 독성이 강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단 독미나리는 미나리 특유의 향이 없으므로 잘 신경 쓴다면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독미나리는 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될 정도로 희귀한 터라 일부러 찾아보려고 해도 찾기 힘들다.
-
미나리속(Oenanthe) 식물은 대부분 독초로 특히 Oenanthe crocata(hemlock water-dropwort)는 그 중에서도 가장 강한 독성을 지니고 있어 가축과 인간에게 많은 피해를 끼쳤다.
-
간질(Fasciola hepatica)이라는 기생충의 중간 숙주가 되는 식물이므로 되도록 익혀 먹는 게 좋다.관련 기사 이후 동 교수에게서 봄 철에 먹는 것은 괜찮다는 정정 보도가 나왔다. http://blog.naver.com/cyberokuk/220298441891
-
잘 보면 잎사귀와 줄기 끝의 모양이 제법 예쁜지라, 음식 위에 잎사귀만 슬쩍 떼서 장식용 허브처럼 써도 괜찮다.
-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경북 청도군의 한재 미나리가 등록되었다.
-
경찰청 본청이 있는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渼芹洞)은 미나리밭이 있던 동네라 붙은 이름이다. 미나리 근 자가 지명에 쓰였다.
-
영화 헬로우 고스트에서 매우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었다.
-
동명의 2021년작 영화가 있다. 자세히는 미나리(영화) 문서 참조. 미국으로 이민을 간 한국인 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는 영화인데, 이들을 한국의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미나리에 비유한 작명이라 한다.
-
대한민국에서는 미나리철인 봄에 미나리 농가에 가면 비닐하우스나 가건물에서 불판, 부루스타, 평상 등을 구비해 두고 삼겹살과 미나리를 함께 파는 간이 식당을 찾아볼 수 있는데, 대부분 허가받지 않은 불법이다. 무허가로 장사 하며 세금도 안내는 주제에 값이 싼 것도 아니다. 이런 불법 식당에선 탈세 문제와 설거지 오염수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매년 뉴스에 보도되고 있지만, 일부 지자체는 사실상 눈감아 주고 있는 모양이다. 2021년 3월 KBS 뉴스에 따르면 경주시와 구미시는 이를 엄중히 단속하고 있지만 경산시는 방치하고 있다고 한다. 사실 비닐하우스, 가 건물에서 장사 하는 경우엔 단속 나온다는 소리 듣고 다 버리고 도망가도 손해 볼 게 별로 없다.
-
80년대 미개한 시절에는 하수도를 뚫어 오폐수를 인근 미나리꽝으로 유입시켜 재배하는 서울 외곽의 미나리 농장의 실태가 MBC 뉴스데스크 카메라 출동에 보도되었다. 80년대 미나리 재배법. 예로부터 미나리는 오염된 물에서 자라야 한다는 속설 때문에 이런 일을 벌인 걸로 보이는데, 미나리가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 오수에서도 살 수 있다는 것이지, 더 맛있어지거나 상품성이 더 좋아지는 것은 전혀 아니다. 한 마디로 그냥 미친 짓. 또 농장주가 멀쩡한 하수관에 구멍을 낸 것이라 형사처벌 대상이다. 더군다나 인근 주택은 정화조 설비조차 없어 대소변을 하수로 그대로 흘러보내고 있다고 보도되어 충격이 더더욱 크다. 기자와 농장주의 인터뷰도 가관.기자 : 미나리를 키울때 무슨물로 사용하고 있습니까?
농장주A : 하수물을.. 하수도물을 지금 썼습니다.
기자 : 아, 저기 아파트에서 나오는 이런 물요. 그래서 이렇게 지금 아주 물이 안좋군요.
농장주A : 예..
기자 : 지금 이 미나리를 재배하고 계시죠? 미나리를 뭐 하수도물로 하면은, 그러면 어떻습니까?
농장주B : 오염이 되죠.
기자 : 오염이 됩니까.
농장주B :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