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 244

장어

[편집] 뱀장어목에 속하는 모든 종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보통 장어라고 하면 뱀장어를 가리킬 때가 많다. 한자는 '長魚', 말 그대로 '긴 물고기'라는 뜻이다. 2. 특징[편집] 분류군 명칭에서 볼 수 있듯이 여러 장어들이 뱀처럼 몸이 길고 가늘다. 크기는 종류마다 달라 정원장어처럼 60㎝ 정도 되는 작은 장어도 있는가 하면, 가는곰치(Slender giant moray, Strophidon sathete)처럼 4m 가까이 되는 큰 장어도 있다. 거의 모든 장어들은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길어 꼬리 끝까지 연장된다. 곰치는 등지느러미가 머리 위쪽이나 머리 바로 밑에서부터 시작되고[1] 가슴지느러미가 소실된 종이 많다. 한국에서는 뱀장어가 유명하다 보니 연어처럼 민물과 바다를 오가는 물고기라는 인식..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농어

1. 개요[편집] Japanese sea bass 동아시아 농어 한국에도 자생하는 주걱치목 농어과에 속하는 어류의 일종. 서양요리에서 흔히 '농어'라고 불리는 생선 sea bass와는 목단위에서 다른 생물이다. 또한 큰입배스와도 목단위에서 다르다.[1] 즉 동양의 농어와 서양의 농어는 생김새도 비슷하고 맛도 비슷하나 그것은 우연일뿐 전혀 다른 생물종이다. 그래서 과거의 어류학자들이 서양의 bass와 동양의 농어를 혼동하여 bass를 '(서양)농어'라고 명명했으나 현재는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라 동양 농어는 주걱치목으로 분류된 상태고 그에 따라 기존의 Perciformes도 농어목이 아닌 페르카목(perch류[2])으로 부르게 되었다.[3][4][5] 페르카목, 구 농어목은 과거 척추동물 전체 종 수의 절..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감성돔

[ 黑棘鲷 , クロダイ ] 감성돔 이미지 크게보기 학명 Acanthopagrus schlegelii 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목 : 농어목(Perciformes) 과 : 도미과(Sparidae) 속 : Acanthopagrus 출산 · 산란 시기 산란기는 3∼7월로서 바닥이 자갈, 펄, 모래 등으로 해저지형이 비교적 복잡한 곳에 산란한다. 최소 성숙체장은 수컷은 체장 17cm (2년), 암컷은 20cm 이지만, 5∼6년이 되면 대부분이 성숙하며 산란기 동안에 수십 회 산란한다. 서식지 수심 50m 이내인 바닥이 해조류가 있는 모래질이거나 암초지대인 연안에 주로 서식한다. 분포정보 분포지 : 우리나라 서·..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버터

1. 개요[편집] 2. 역사[편집] 버터는 역사가 대단히 오래된 식품으로, 중동과 아프리카에서 인류가 가축을 키우기 시작할 무렵부터 등장했다. 중앙아시아 유목민이 개발한 후 주변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보이는데 소, 염소, 양, 야크 등의 젖에서 얻어낸 지방질을 허공에 걸어둔 가죽 주머니에 넣어 수평으로 저어서 버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오래된 방식이었다. 기원전 3500년 수메르의 기록이나 기원전 1500년 이집트의 기록에 버터가 나오는 것을 보면 고대 문명 초기에 이미 유목 세계로부터 농경 세계로 버터가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알려졌다는 것과 그것이 널리 사용되었다는 것은 별개의 문제로 고대 로마의 정치인이자 역사학자 대 플리니우스(Gaius Plinius, 23~79)가 버터를 두고 ‘야만인..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금붕어

잉어목 잉어과의 민물고기. 금붕어 이미지 크게보기 금붕어 학명 Carassius auratus 계 동물 문 척삭동물 강 경골어류 목 잉어목 과 잉어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산란시기 봄(수온 12∼20℃) 붕어와 형태가 비슷한 점, 염색체의 수가 같고 또 같은 형인 점, 그리고 순계분리(純系分離)하여 사육을 반복해 가다 보면 붕어가 생긴다 하여 붕어의 변종(變種)으로 되어 있다. 원산지는 양쯔강[揚子江] 하류의 저장성[浙江省] 항저우[杭州]이다. 본초학자 이자진(李自珍)은 금어(金魚) 또는 금적어(金鯽魚)라 하여 당대(唐代)에 야생의 금붕어가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다. 북송시대(960∼1126)에는 몸빛깔이 황금색으로 변이한 금붕어에 관한 기록이 있으며 ..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뱀장어

요약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 뱀장어 이미지 크게보기 뱀장어 학명 Anguilla japonica 계 동물 문 척삭동물 강 경골어류 목 뱀장어목 과 뱀장어과 이칭/별칭 (방언) 구무장어, 궁장어, 민물장어, 밈장어, 배무장우, 배암장어, 뱀종어, 우범장어, 장어, 짱어, 참장어, 드물장어, 배미쟁이, 뻘두적이, 곤장어, 장치, 비암치 멸종위기등급 위기(EN : Endangered, 출처 : IUCN) 크기 70cm (최대 150cm) 몸의 빛깔 보통 등은 짙은 갈색, 배는 은백색, 양 옆은 황금색 광택 산란시기 2~5월로 추정 서식장소 강, 호수, 늪, 논 등 대부분의 민물 분포지역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유럽 목차 명칭·별칭요리 뱀장어목 뱀장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로..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민물고기

민물고기는 강이나 호수에서 사는 어류를 말한다. 담수어(淡水魚), 천어(川魚)라고도 한다. 이와 비슷하게 바다와 강을 오가는 어류를 저수성 어류, 바닷물에서 사는 어류를 바닷물고기(해수성 어류)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메기, 잉어, 붕어등이 속한다. 또한 민물고기에는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는 기수역에서 일생을 보내는 물고기나 뱀장어, 은어, 연어 등도 포함된다. 연골어류인 상어에서는 갠지스상어가 완전히 민물에 적응하여 평생을 민물에서만 살아가는 민물고기이다. 민물고기는 중요한 식량자원일 뿐 아니라 지질학과 고생물학 등에서 흥미있는 대상이다. 이들 민물고기는 전체 물고기 종류의 약 10%로, 지구상의 총 민물고기는 물고기 전체(약 2만 종)의 약 25%를 차지한다.[출처 필요][모호한 표현]민물고기를 일부 매..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추어탕

추어탕(鰍魚湯)은 미꾸라지를 넣고 얼근하게 끓인 국이다. 미꾸라지를 푹 고아 걸러낸 것을 배춧잎, 숙주, 고비, 파 등을 넣고 된장과 고추장으로 간을 해서 끓인다. 역사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 문단을 편집하여, 신뢰할 수 있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 검증되지 않은 내용은 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내용에 대한 의견은 토론 문서에서 나누어 주세요. (2014년 10월) 최초의 기록은 1123년 예종의 조의를 위해 고려를 방문한 북송의 사신 서긍이 쓴 고려도경 제23권 잡속2(雜俗 二)편 어(漁) 부분에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 귀인은 육고기(양, 돼지)를 먹고 가난한 백성은 해산물을 많이 먹는다. 미꾸라지(鰌), 전복(鰒), 조개(蚌), 진주조개(珠母), 왕새우(蝦王) 등은 귀천없..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신경안정제

신경안정제는 통상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을 주로 하는 항불안제를 지칭한다. 벤조디아제핀 약물은 가바(GABA)라는 신경전달물질의 중추신경 억제성 기능을 강화시켜 항불안, 진정, 항경련, 근이완 효과를 나타낸다. 부작용은 주로 진정작용과 근육이완과 관련되어 있다. 외국어 표기 sedatives(영어) 神經安靜劑(한자) 벤조디아제핀 구조식 약리작용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은 1933년 처음 합성된 후 1950년대 이후로 정신과 영역뿐만 아니라 의학 전반에 걸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항불안제로, 공통된 화학구조를 갖는 약물 계열을 지칭한다. 벤조디아제핀 약물은 중추신경의 벤조디아제핀 수용체와 결합하여 가바(gamma aminobutyric acid, GABA)라는 신경전달물질의 중추신경 억제성 기능..

카테고리 없음 2024.07.02

미숫가루

1. 개요[편집] 미수, 미숫가루[1] 또는 선식(禪食)은 곡물을 말려 빻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 한국의 전통적인 보존식품으로, 대개 대체식 또는 다이어트 식단으로 먹거나 단단한 음식을 소화하기 어려울 때 미음을 먹듯이 물에 타서 마신다. 예로부터 곡물 가루는 세계 각지에서 보편적인 보존식품으로서 널리 쓰여 왔으며, 특히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찹쌀이나 멥쌀, 또는 보리쌀을 찌거나 볶아서 미수를 만들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영양분의 보충을 위해 콩이나 다른 잡곡, 해조류나 쑥 등의 가루를 추가하기도 한다.[2] 한편, 선식이라는 이름은 '참선을 위한 음식'이라는 뜻으로, 불교에서 스님들이 참선할 때 허기를 달래기 위해서 차나 미숫가루를 먹었던 것에서 유래했다. 2. 역사[편집] 곡물을 말려 가루로 만드는 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