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펼치기 · 접기 ]
|
키위(키위새)
Kiwi |
|
|
|
Apteryx
Shaw, 1813 |
|
분류
|
|
동물계(Animalia)
|
|
척삭동물문(Chordata)
|
|
조강(Aves)
|
|
고악하강(Palaeognathae)
|
|
키위목(Apterygiformes)
|
|
키위과(Apterygidae)
|
|
키위속(Apteryx)
|
|
큰알락키위(A. haastii)
쇠알락키위(A. owenii) 북섬갈색키위(A. mantelli) 남섬갈색키위(A. australis) 오카리토갈색키위(A. rowi) |
|
큰알락키위(A. haastii)
|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토종새로, 뉴질랜드의 국조(國鳥)이자 나라의 상징이다. 대략 다섯 종류가 있다.
한때 유전자 연구 등을 통해 위 그래프의 B와 같이 모아에서 분리되어 나왔다는 학설이 유력했으나, 현재 이 가설은 폐기되었다. 이후 2014년 5월 위 그래프의 C와 같이 키위가 유전적으로 코끼리새와 가깝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키위의 가까운 친척 중 한 종류가 키위의 서식지인 뉴질랜드와는 동떨어진 마다가스카르에 사는 코끼리새라는 점에 의의가 있는데, 오세아니아와 아프리카는 한때 '곤드와나(Gondwana)'라는 초대륙을 이루고 있었으며, 이 곤드와나가 서로 분리되었을 때의 시기는 중생대 백악기 초중반이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키위를 포함한 여러 주조류들이 지질학적으로 꽤 오랜 세월 동안 존재한 생물이라는 사실을 증빙한다. 단 에뮤/화식조는 키위보다 먼저 분화해 나간 무리로 추정되므로, 가까운 친척이라 봐도 될 듯하다.
야행성이며, 날개가 거의 완전히 퇴화하여 성인 남성의 엄지손가락 정도의 작은 돌기로 남았다. 타조와 같이 날개가 퇴화하여 나는 능력을 잃어버린 대신 다리가 잘 발달되어 잘 달린다. 대부분의 새들은 부리 시작 부분에 콧구멍이 있는 데 반해, 키위는 긴 부리 끝에 콧구멍이 있어서 이를 이용해 후각으로 먹이를 찾는다. 주로 곤충류, 특히 지렁이를 주로 먹는다.
날지 못하기 때문에 다리 근육이 발달해서 걷는 영상을 보면 상당히 튼실해보인다. 거기에 날개는 없고 몸은 달걀처럼 통통하며, 부리는 길어서 상당히 독특한 자태를 보여준다.
본래 키위에게는 하스트수리 같은 맹금류를 제외하면 천적이 거의 없었으나, 이주민이 데려온 외래종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를 받는다. 주로 고양이나 쥐가 이 새에게 천적이라고 한다.[1] 지상 천적이 없는 세월이 너무 길었던 탓에 자신을 방비하고 천적에 대비하는 본능적인 습성이 전무하다.[2] 게다가 번식률이 낮은 것 또한 문제. 20세기 초에는 뉴질랜드 전역에 백만 마리가 넘는 야생 키위가 있었다고 하는데, 2018년 기준으로는 약 6만 8천 마리로 파악됐으며, 매년 2%씩 개체가 감소하고 있다.
과거 천적이 없었을 때에도 개체 수가 잘 늘어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키위의 신체구조 때문이다. 정확히는 암컷이 품는 알 때문인데, 키위는 1년에 알을 딱 한 개 낳는다. 그런데 그 한 개의 크기가 성체 암컷의 1/4, 심하면 1/3 크기라서 알을 낳다가 죽는 암컷이 많다고 한다. 알이 복강에 가득 들어차기 때문에 산란 전 며칠 간은 제대로 먹지도 못한다고. 보통 키위의 몸길이가 48~84 cm, 몸무게가 1.35~4 kg 정도인데 키위 알의 무게가 420 g 남짓이다. 몸집이 비슷한 새가 낳는 알의 무게가 70 g 정도니 무려 6배나 무겁다. 그래서 키위 새끼는 알에서 갓 나왔을 때도 상당히 크다.[3]
알을 밴 키위의 엑스레이 사진.[4]
골격 모형.
보통 조류들이 낳는 알의 크기를 생각해 보면, 키위가 저 작은 몸으로 타조처럼 커다란 알을 낳는 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인 일인지 알 수 있는데, 이는 과거 다른 주금류처럼 키위새가 몸집이 컸던 시절의 흔적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진화하면서 덩치는 작아졌지만 알의 크기는 예전 그대로라는 것.
날지 못하기 때문에 다리 근육이 발달해서 걷는 영상을 보면 상당히 튼실해보인다. 거기에 날개는 없고 몸은 달걀처럼 통통하며, 부리는 길어서 상당히 독특한 자태를 보여준다.
본래 키위에게는 하스트수리 같은 맹금류를 제외하면 천적이 거의 없었으나, 이주민이 데려온 외래종에 의해 멸종위기에 처해 보호를 받는다. 주로 고양이나 쥐가 이 새에게 천적이라고 한다.[1] 지상 천적이 없는 세월이 너무 길었던 탓에 자신을 방비하고 천적에 대비하는 본능적인 습성이 전무하다.[2] 게다가 번식률이 낮은 것 또한 문제. 20세기 초에는 뉴질랜드 전역에 백만 마리가 넘는 야생 키위가 있었다고 하는데, 2018년 기준으로는 약 6만 8천 마리로 파악됐으며, 매년 2%씩 개체가 감소하고 있다.
과거 천적이 없었을 때에도 개체 수가 잘 늘어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는 키위의 신체구조 때문이다. 정확히는 암컷이 품는 알 때문인데, 키위는 1년에 알을 딱 한 개 낳는다. 그런데 그 한 개의 크기가 성체 암컷의 1/4, 심하면 1/3 크기라서 알을 낳다가 죽는 암컷이 많다고 한다. 알이 복강에 가득 들어차기 때문에 산란 전 며칠 간은 제대로 먹지도 못한다고. 보통 키위의 몸길이가 48~84 cm, 몸무게가 1.35~4 kg 정도인데 키위 알의 무게가 420 g 남짓이다. 몸집이 비슷한 새가 낳는 알의 무게가 70 g 정도니 무려 6배나 무겁다. 그래서 키위 새끼는 알에서 갓 나왔을 때도 상당히 크다.[3]
알을 밴 키위의 엑스레이 사진.[4]
골격 모형.
보통 조류들이 낳는 알의 크기를 생각해 보면, 키위가 저 작은 몸으로 타조처럼 커다란 알을 낳는 것이 얼마나 비효율적인 일인지 알 수 있는데, 이는 과거 다른 주금류처럼 키위새가 몸집이 컸던 시절의 흔적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진화하면서 덩치는 작아졌지만 알의 크기는 예전 그대로라는 것.
호기심이 많은 편이라서 사람을 무서워하지 않고, 오히려 사람을 따라다니는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5] 그래서 뉴질랜드 원주민인 마오리족에게 사랑받는 새이기도 하다. 마오리족 전설에 의하면 키위는 숲과 새들의 정령인 타네 마후타(Tane Mahuta)[6]의 보호를 받으며, 키위의 털은 타네 마후타의 신비로운 힘을 간직하고 있다고 믿었다. 때문에 키위의 깃털을 모아서 의식용 망토를 만들기도 했다. 단, 이때 절대로 키위를 죽이거나 일부러 털을 뽑아서는 안되고, 털갈이철에 키위가 흘린 깃털을 하나하나 모았다고 한다. 오늘날에도 키위의 깃털은 여전히 고급 소재로 활용되는데, 전통 방식대로 로드킬을 당한 키위의 시체나 키위가 흘린 깃털을 모아서 쓴다. 키위가 사람을 따라 마을까지 들어오면 길조로 여긴다고 한다.[7]
이런 만큼 키위의 외모에 관한 전설도 있다. 제목은 날개를 잃은 키위. 내용을 요약하자면 과거 키위에게도 날개가 있고 다른 새들과 함께 나무 위에서 살았지만, 벌레들이 나무를 파먹어 죽이자 앞에 나온 타네 마후타의 형제인 타네 호카호카(Tane Hokahoka)가 땅에 내려가 살면서 벌레를 잡아줄 새를 찾게 되었다. 다른 새들은 이런저런 이유로 거절했으나 용감한 키위는 다시는 날 수 없을 걸 알면서도 어두컴컴하고 축축한 땅으로 내려갈 것을 결심, 그 결과 키위는 신의 축복을 받고 다른 새들은 벌을 받았다는 내용. 전문. 번역본.만화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펫 퀘스트에도 내용이 구현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식용으로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현재도 키위새가 뉴질랜드의 국조인데다 멸종위기 동물인지라 법으로 채집 및 식용이 금지되어 있다. 상술했듯 마오리족이 키위새를 신성시 여기기도 했고, 애초에 뼈와 살이 많지 않아 식용으로는 인기가 없어서 발달한 요리가 없다.
이런 만큼 키위의 외모에 관한 전설도 있다. 제목은 날개를 잃은 키위. 내용을 요약하자면 과거 키위에게도 날개가 있고 다른 새들과 함께 나무 위에서 살았지만, 벌레들이 나무를 파먹어 죽이자 앞에 나온 타네 마후타의 형제인 타네 호카호카(Tane Hokahoka)가 땅에 내려가 살면서 벌레를 잡아줄 새를 찾게 되었다. 다른 새들은 이런저런 이유로 거절했으나 용감한 키위는 다시는 날 수 없을 걸 알면서도 어두컴컴하고 축축한 땅으로 내려갈 것을 결심, 그 결과 키위는 신의 축복을 받고 다른 새들은 벌을 받았다는 내용. 전문. 번역본.만화 대항해시대 온라인의 펫 퀘스트에도 내용이 구현되어 있다.
전통적으로 식용으로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현재도 키위새가 뉴질랜드의 국조인데다 멸종위기 동물인지라 법으로 채집 및 식용이 금지되어 있다. 상술했듯 마오리족이 키위새를 신성시 여기기도 했고, 애초에 뼈와 살이 많지 않아 식용으로는 인기가 없어서 발달한 요리가 없다.
'키위'라는 이름은 새의 울음소리를 흉내낸 마오리족의 의성어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 우리나라로 치면 개굴→개구리나 맹꽁→맹꽁이의 작명 원리와 같은 셈. 다른 소수설로는 폴리네시아어 사용자들이 강모다리마도요를 키위라고 불렀는데, 마오리족이 뉴질랜드로 와서 키위를 보고는 (부리가 긴 모습이 비슷해서) 역시 키위라고 부르게 됐다는 주장도 있다.
원산지가 중국인 과일 키위는 원래 영어 이름이 '차이니즈 구즈베리(chinese gooseberry)'인데, 6.25 전쟁 이후 냉전기에 미국에서 공산국가인 중국의 이미지가 나빠지자 덩달아 수입이 급감하였다고한다. 이에 주수출국이었던 뉴질랜드에서 생김새가 비슷한 새 키위의 이름을 따와 바꾼 것이다. 원래 우리말 이름은 양다래. 새 키위를 모르는 사람 중에는 거꾸로 과일에서 새 키위의 이름이 나왔다고 여기는 이들도 꽤 있다.
원산지가 중국인 과일 키위는 원래 영어 이름이 '차이니즈 구즈베리(chinese gooseberry)'인데, 6.25 전쟁 이후 냉전기에 미국에서 공산국가인 중국의 이미지가 나빠지자 덩달아 수입이 급감하였다고한다. 이에 주수출국이었던 뉴질랜드에서 생김새가 비슷한 새 키위의 이름을 따와 바꾼 것이다. 원래 우리말 이름은 양다래. 새 키위를 모르는 사람 중에는 거꾸로 과일에서 새 키위의 이름이 나왔다고 여기는 이들도 꽤 있다.
-
게임 뉴질랜드 스토리에 나오는 주인공이 바로 이 키위새다. 하지만 색이 노란색인 데다가 날개가 있는지라 생긴 것은 영락없는 병아리. 게다가 2006년 NDS판에서는 아예 병아리로 확정되었다.
-
플래닛 주 오세아니아 DLC를 구매하면 사육 가능한 동물로 나온다. 등장하는 종은 북섬갈색키위.
정작 두 손으로 힘겹게 열어야 하는
그
어떤
문 앞에서는
키위 키위 울고만 있을 것이다.
-유하, 자동문 앞에서 中
[1] 실제로 뉴질랜드에선 뱀이나 개과를 비롯한 육식동물 수입을 불법으로 간주해 철저히 막고 있다.[2] 뉴질랜드 동물보호 기관에서는 다쳤거나 위험에 노출된 야생 키위를 구하는 전용 탐지견도 운용 중이다.[3] 단순 비교하면 50 kg 여성이 15 kg짜리 아이를 낳는 셈이다. 보통 신생아 몸무게가 3 kg 내외라는 걸 생각하면... 심지어 사람은 그 3kg짜리 아기를 낳는것도 힘들어하며 4kg을 돌파하면 제왕절개를 하는게 나을 지경이 된다.[4] 인간도 임신하면 복강이 줄어들어 주요 장기들이 위로 이동하는데, 이쪽은 아예 알에 다 짓눌려 있다. 참고로 가슴의 하얀 것은 키위 암컷의 심장이다. 본디 더 위에 위치해야 하는데 알과 장기에 밀려 아래로 내려온 것.[5] 심지어 동족과 싸우는 중 근처에 사람이 있는 건 신경도 안 쓰거나 아예 사람을 엄폐물로 쓸 정도. #[6] 설화에 따르면 신의 아들 중 하나다.[7] 똑같이 신성시된 뉴질랜드장어, 투아타라는 종종 마오리족이 잡아먹기도 했지만 키위새만큼은 예외였는데, 지방이 너무 두꺼운 데다가 고기에 불쾌한 냄새가 심해서 도저히 먹을 게 못 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