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十二指腸蟲 ]
십이지장충
Ancylostoma duodenale |
동물 |
선형동물 |
원충목 |
구충과 |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
수컷 10∼13㎜, 암컷 8∼11㎜, 너비 모두 0.5㎜ |
소장의 상부인 공장에 기생 |
소장의 상부에 기생 |
쌍선충류에 속하는 인체기생충이다. 1838년 이탈리아의 A.두비니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었으므로 두비니구충이라고도 하며, 처음에 십이지장에서 발견되었기에 십이지장충이라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소장의 상부인 공장(空腸)에 기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몸길이 수컷 10∼13㎜, 암컷 8∼11㎜이며 나비는 모두 0.5㎜이다. 입은 주머니 모양이며 속에 2쌍의 날카로운 이빨이 있다. 꼬리 끝에 교접낭이 있다.
알은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무색 투명하고 안쪽에 난황막이 있다. 하루에 1마리가 1∼2만 개의 알을 낳는데, 크기는 0.6㎜이다. 알은 30℃ 전후에서 2∼3일 내에 부화하여 라브디티스(rhabditis)형 유충이 되어 세균이나 유기질을 섭취하여 발육하며 자유생활을 한다. 이후에 탈피를 거듭하여 필라리아(filaria)형 유충이 되는데, 이를 감염성 유충이라고 한다. 25℃ 전후의 모래흙에서 잘 살고, 길게는 2개월 이상 살기도 하나 대개 2주 이내에 죽는다.
유충이 입으로 들어가거나 피부와 접촉하면 5분 이내에 혈관이나 림프관을 통해 폐로 간다. 기낭에 들어간 후 기관지·인두를 거쳐 소화기관으로 들어가 소장에 이른다. 이빨로 점막에 교착(咬着)하여 피를 빨아먹으며 움직이지 않는다. 소장에서 성충으로 자라 암수가 구별된다.
1마리가 하루에 0.2㏄ 정도의 피를 빨아먹으므로 철분결핍성 빈혈증을 일으킨다. 폐에서 기관, 인두로 거칠 때 오심(惡心)·구토·설사 등의 소화기 증세와 목에 심한 소양감이나 통증을 느끼며 발작적인 기침을 하는 수가 있다. 이런 증상은 덜 익은 열무김치를 먹었을 때 일어나므로 채독증이라고 한다. 예방을 하려면 인분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고 채소를 깨끗이 씻어야 하며 김치를 담근 뒤 바로 먹지 말고 익은 다음에 먹도록 한다.
근연종에 아메리카십이지장충(Necator americanus)이 있는데, 십이지장충보다 가늘고 주로 피부를 통해 사람에게 감염하며, 흡혈량은 1마리가 하루에 약 0.03㏄로 십이지장충보다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