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올리브나무

마태복음 2024. 10. 28. 07:11
728x90

[  , Olive음성듣기 ]

올리브나무[木犀欖]

과명약전중약명학명
물푸레나무과(Oleaceae)
EP, BP, BHP, USP, GCEM
올리브유 - 올리브나무(, Olea europaea L.)의 잘 익은 열매로부터 얻은 지방유
Olea europaea L.

개요

올리브나무속(Olea) 식물은 세계에 약 40종이 있으며 남부 아시아, 오세아니아, 남태평양 섬, 아프리카와 지중해의 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15종, 1아종 및 1변종이 발견되며 약 2종이 약으로 사용된다. 올리브는 소아시아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후에 지중해에서 널리 재배되었고 전 세계의 아열대 지역에서 재배되었다. 오래전에 중국에 도입되어 현재 양자강 남쪽의 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올리브는 이미 기원전 17세기에 이집트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고 곧 스페인으로 도입되었다. 올리브유는 현재 제약, 식품 및 일상화학제품에 널리 사용된다. 중국에서는 올리브가 ≪본초강목()≫에서 제돈과()라는 이름으로 소개된 이래 약재로 사용된다. 이 종은 유럽약전(5개정판), 영국약전(2002) 및 미국약전(28개정판)에서 올리브유(Olivae Oleum)의 공식적인 기원식물로 등재되어 있다. 이 약재는 주로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그리스 및 튀니지에서 생산되며, 중국의 양자강 남쪽 지역에서도 생산된다.

올리브에는 지방산, 스테롤, 세코이드리드 글루코시드, 페닐에틸알코올 글리코시드 및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과 스테롤이 지표물질이다. 유럽약전, 영국약전 및 미국약전은 의약 물질의 품질관리를 위해 지방산 및 스테롤의 함량을 정량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약리학적 연구에 따르면 올리브유와 올리브 잎은 항산화, 혈압강하, 항고지혈증, 혈당강하작용 및 항균력을 나타낸다.

민간요법에 의하면 올리브유는 이담작용 및 심혈관 보호 작용을 나타내며, 한의학에서 올리브유는 윤장통변(便), 해독렴창()의 효능을 나타낸다.

올리브나무[木犀欖]Olea europaea L.

함유성분

열매에는 지방산 성분으로 올레산, 팔미트산, 팔미톨레산, 리놀렌산, 스테아르산, 리올레산, arachidic acid, behenic acid, lignoceric acid, margaric acid, gadoleic acid[참고문헌:1], vaccenic acid, eicosenoic acid[참고문헌:2], 식물성 스테롤 성분으로 cholesterol, sitostanol, βsitosterol, stigmasterol, campestanol, campesterol, methylenecholesterol, brassicasterol, Δ7-campesterol, clerosterol, Δ7-stigmastenol, Δ5-avenasterol, Δ7-avenasterol, Δ5, 24-stigmastadienol[참고문헌:3], 세코이리도이드 배당체 성분으로 nuezhenide, oleonuezhenide[참고문헌:4], oleuropein, demethyloleuropein, ligustroside[참고문헌:5], oleuroside[참고문헌:6], oleoside[참고문헌:7],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 성분으로 salidroside[참고문헌:4], verbascoside[참고문헌:7],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rutin, luteolin, luteolin-7-glucoside, luteolin-7-rutinoside[참고문헌:7],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으로 oleanolic acid, maslinic acid, erythrodiol, uvaol[참고문헌:8]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cornoside[참고문헌:5], elenolide[참고문헌:9], tyrosol[참고문헌:10], hydroxytyrosol[참고문헌:11], estrone[참고문헌:12]이 함유되어 있다.

잎에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rutin, luteolin, apigenin, diosmetin[참고문헌:13], hesperidin, quercetin, kaempferol[참고문헌:14], chrysoeriol, chrysoeriol-7-O-glucoside[참고문헌:15], 세코이리도이드 배당체 성분으로 oleuropein[참고문헌:16], ligustroside, oleoside[참고문헌:17], secologanoside[참고문헌:18], 이리도이드 배당체 성분으로 asperuloside, kingiside, morroniside[참고문헌:19]가 함유되어 있다.

줄기와 껍질에는 oleuropeic acid, 6-O-oleuropeoylsucrose[참고문헌:20], demethyloleuropein[참고문헌:21], esculetin, esculin[참고문헌:22]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

1. 항산화 작용
전자 스핀 공명(ESR) 분광분석법의 결과로부터, 열매추출물(주로 하이드록시타이로솔을 함유함)은 하이포크산틴/크산틴 산화효소 시스템과 펜톤 반응에 의해 각각 생성된 5,5-디메틸 피롤린-N-산화물(DMPO)과 탄화수소 라디칼을 강하게 억제했다[참고문헌:23]. 활성성분은 하이드록시타이로솔, 마슬린산, 누에제나이드와 같은 페놀계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참고문헌:11, 23-24].

2. 혈압강하 작용
열매 수성 메탄올성 조 추출물을 정맥 투여하면 정상 조혈 마취 및 아트로핀 처리 랫드에서 동맥혈압을 낮추었다. 이는 또한 기니피그 심방의 자발적인 박동을 저해했다. 잎 추출물을 경구 투여하면 랫드의(NG-니트로-L-아르기닌 메틸 에스테르) L-NAME으로 유발된 혈압 상승에 대한 예방 효과를 보였다. 또한 잎의 물 추출물을 정맥 투여하면 고양이와 토끼의 혈압을 낮추었다[참고문헌:27]. 활성성분은 올레우로페인과 트리테르펜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참고문헌:8, 16].

3. 항고지혈증 효과
열매의 수성 메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을 랫드의 위 내관 내 투여하면 고농도의 혈청 수준을 증가시키면서 총 콜레스테롤(TC) 및 저농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의 혈청 수준이 낮아졌다[참고문헌:28]. 혈장 TC LDL-콜레스테롤 수치는 노인에서 버진 올리브유를 섭취 한 후에만 감소했다[참고문헌:29].

4. 혈압강하 작용
잎 추출물은 경구용 전분과 포도당 과부하 하에서 랫드의 α-아밀라제를 억제함으로써 항 고혈당 작용을 보였다. 올레우로페인은 알록산-모모하이드레이트에 의한 랫드의 고혈당을 억제했다[참고문헌:31].

5. 항균 작용
올레우로페인과 같은 세코이리도이드는 표준 박테리아 균주 또는 인플루엔자균, 모락셀라 카타랄리스균, 장티푸스균 및 장염비브리오균와 같은 임상 분리 균주에 대해 in vitro에서 유망한 항균성 활성을 보였다[참고문헌:32]. 열매와 잎의 추출물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항균 활성을 보였다[참고문헌:33]. 올레우로페인은 in vitro에서 마이코플라즈마 호미니스, M. fermentans, M. pneumonia, M. pirum을 저해하였다[참고문헌:34].

6. 항종양 작용
열매, 잎 및 올리브유는 자궁경부암 HL-60 세포에 대하여 in vitro에서 유의한 항 돌연변이 유발 및 성장 억제 활성을 보였다[참고문헌:35]. 열매 추출물에 있는 펜타사이클릭 트리테르펜은 결장암 HT-29 세포에서 세포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했다[참고문헌:36].

7. 항바이러스 작용
잎 추출물과 그 주요 화합물인 올레우로페인은 바이러스 엔벨로프와 상호 작용하여 감염되지 않은 세포에서 바이러스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HSV)에 의해 유도된 세포 간 막 융합을 억제하고 바이러스성 전달을 억제했다[참고문헌:37].

8. 기타
올리브는 또한 항궤양, 항염증[참고문헌:38], 항 방사선[참고문헌:39], 항 보체 효과[참고문헌:15]를 보였다. 이것은 마우스 간의 글투타티온 S-전이효소(GST)를 유도하고[참고문헌:40],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를 억제하며[참고문헌:41], 평활근을 이완시키고[참고문헌:42], 심장 혈관계를 보호한다[참고문헌:43].

용도

1. 긴장항진, 동맥 경화, 관상 동맥 질환
2. 류마티즘, 통풍
3. 발열
4. 담관염, 담낭염, 황달, 복부팽만, 변비, 로엠헬드증후군, 위궤양
5. 건선, 습진, 뜨거운 물김에 데인 상처 및 화상

해설

올리브유는 지중해 연안의 전통적인 황록색의 향기로운 식용유이다. 풍부한 영양소와 우수한 의약 및 건강관리 기능으로 인해 올리브유는 자연 건강 식용기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오랫동안 "액체 황금"으로 알려져 왔다.

유럽약전과 영국약전에는 가공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가격, 영양소 및 용도에 따라 버진 올리브 오일과 정제 올리브 오일의 두 품목으로 각각 등재되어 있다. 버진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의 숙성된 핵과에서 냉압착이나 다른 적절한 기계적 수단으로 얻은 지방질 기름으로, 여과 과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전체 과정에서 화학적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정제 올리브 오일은 올리브 오일을 정제하여 얻은 지방 오일이다. 그 산도는 일반적으로 탈색 및 탈취와 같은 정제 과정을 통해 0.5 이하로 낮출 수 있다. 버진 올리브 오일이 품질이좋다.

참고문헌

  • 1. JE Pardo, MA Cuesta, A Alvarruiz. Evaluation of potential and real quality of virgin olive oil from the designation of origin ‘Aceite Campo de Montiel’. Food Chemistry. 2006, 100(3): 977-984
  • 2. P Scano, M Casu, A Lai, G Saba, MA Dessi, M Deiana, FP Corongiu, G Bandino. Recognition and quantitation of cis-vaccenic and eicosenoic fatty acids in olive oils by 13C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Lipids. 1999, 34(7): 757-759
  • 3. G Sivakumar, CB Bati, E Perri, N Uccella. Gas chromatography screening of bioactive phytosterols from mono-cultivar olive oils. Food Chemistry. 2005, 95(3): 525-528
  • 4. R Maestro-Duran, R Leon-Cabello, V Ruiz-Gutierrez, P Fiestas, A Vazquez-Roncero. Bitter phenolic glucosides from seeds of olive (Olea europaea). Grasas y Aceites. 1994, 45(5): 332-335
  • 5. A Bianco, R Lo Scalzo, ML Scarpati. Isolation of cornoside from Olea europaea and its transformation into halleridone. Phytochemistry. 1993, 32(2): 455-457
  • 6. H Kuwajima, T Uemura, K Takaishi, K Inoue, H Inouye. Monoterpene glucosides and related natural products. Part 60. A secoiridoid glucoside from Olea europaea. Phytochemistry. 1988, 27(6): 1757-1759
  • 7. SM Cardoso, S Guyot, N Marnet, JA Lopes-da-Silva, CMGC Renard, MA Coimbra. Characterization of phenolic extracts from olive pulp and olive pomace by electrospray mass spectrometry. Journal of the Science of Food and Agriculture. 2005, 85(1): 21-32
  • 8. R Rodriguez-Rodriguez, JS Perona, MD Herrera, V Ruiz-Gutierrez. Triterpenic compounds from ‘Orujo’ olive oil elicit vasorelaxation in aorta from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6, 54(6): 2096-2102
  • 9. HC Beyerman, LA van Dijck, J Levisalles, A Melera, WLC Veer. The structure of elenolide. Bulletin de la Societe Chimique de France. 1961, 10: 1812-1820
  • 10. A Bianco, MA Chiacchio, G Grassi, D Iannazzo, A Piperno, R Romeo. Phenolic components of Olea europea: isolation of new tyrosol and hydroxytyrosol derivatives. Food Chemistry. 2005, 95(4): 562-565
  • 11. S Silva, L Gomes, F Leitao, AV Coelho, LV Boas.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lea europaea L. fruits and leaves. Food Science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2006, 12(5): 385-395
  • 12. ES Amin, AR Bassiouny. Estrone in Olea europaea kernel. Phytochemistry. 1979, 18(2): 344
  • 13. J Meirinhos, BM Silva, P Valentao, RM Seabra, JA Pereira, A Dias, PB Andrade, F Ferreres. Analysis and quantification of flavonoidic compounds from Portuguese olive (Olea europaea L.) leaf cultivars. Natural Product Research. 2005, 19(2): 189-195
  • 14. N De Laurentis, L Stefanizzi, MA Milillo, G Tantillo. Flavonoids from leaves of Olea europaea L. cultivars. Annales Pharmaceutiques Francaises. 1998, 56(6): 268-273
  • 15. A Pieroni, D Heimler, L Pieters, B Van Poel, AJ Vlietinck. In vitro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flavonoids from olive (Olea europaea) leaves.Pharmazie. 1996, 51(10): 765-768
  • 16. A Trovato, AM Forestieri, L Iauk, R Barbera, MT Monforte, EM Galati. Hypoglycemic activity of different extracts of Olea europaea L. in rats. Plantes Medicinales et Phytotherapie. 1993, 26(4): 300-308
  • 17. P Gariboldi, G Jommi, L Verotta. Secoiridoids from Olea europaea. Phytochemistry. 1986, 25(4): 865-869
  • 18. A Karioti, A Chatzopoulou, AR Bilia, G Liakopoulos, S Stavrianakou, H Skaltsa. Novel secoiridoid glucosides in Olea europaea leaves suffering from boron deficiency. Bioscience, Biotechnology, and Biochemistry. 2006, 70(8): 1898-1903
  • 19. H Inouye, T Yoshida, S Tobita, K Tanaka, T Nishioka. Monoterpene glucosides and related natural products. XXII. Absolute configuration of oleuropein, kingiside, and morroniside. Tetrahedron. 1974, 30(1): 201-209
  • 20. ML Scarpati, C Trogolo. 6-O-Oleuropeoylsucrose from Olea europaea. Tetrahedron Letters. 1966, 46: 5673-5674
  • 21. H Tsukamoto, S Hisada, S Nishibe. Isolation of secoiridoid glucosides from the bark of Olea europaea. Shoyakugaku Zasshi. 1985, 39(1): 90-92
  • 22. S Nishibe, H Tsukamoto, I Agata, S Hisada, K Shima, T Takemoto. Isol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stems of Olea europaea. Shoyakugaku Zasshi. 1981, 35(3): 251-254
  • 23. H Fujita, Y Takehara, S Muranaka, T Fujiwara, J Akiyama, K Utsumi. In vitro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idrox olive pulp extract. Igaku to Yakugaku. 2005, 53(1): 99-108
  • 24. MP Montilla, A Agil, C Navarro, MI Jimenez, A Garcia-Granados, A Parra, MM Cabo. Anti-oxidant activity of maslinic acid, a triterpene derivative obtained from Olea europaea. Planta Medica. 2003, 69(5): 472-474
  • 25. A Hassan Gilani, AU Khan, A Jabbar Shah, J Connor, Q Jabeen.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olive is mediated through calcium channel blockade.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s and Nutrition. 2005, 56(8): 613-620
  • 26. MT Khayyal, MA El-Ghazaly, DM Abdallah, NN Nassar, SN Okpanyi, MH Kreuter. Blood pressure lowering effect of an olive leaf extract (Olea europaea) in L-NAME induced hypertension in rats. Arzneimittel-Forschung. 2002, 52(11): 797-802
  • 27. G Samuelsson. The blood pressure-lowering factor in leaves of Olea europaea. Farmacevtisk Revy. 1951, 50: 229-240
  • 28. I Fki, M Bouaziz, Z Sahnoun, S Sayadi.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phenolic-rich extracts of Chemlali olive cultivar in rats fed a cholesterol-rich diet.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2005, 13(18): 5362-5370
  • 29. JS Perona, J Canizares, E Montero, JM Sanchez-Dominguez, V Ruiz-Gutierrez. Plasma lipid modifications in elderly people after administration of two virgin olive oils of the same variety (Olea europaea var. hojiblanca) with different triacylglycerol composition.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2003, 89(6): 819-826
  • 30. M Sumiyoshi, Y Kimura. Effects of olive leaf extract on blood sugar levels in mice under oral starch and glucose overload. New Food Industry. 2004, 46(8): 53-56
  • 31. HF Al-Azzawie, MSS Alhamdani.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oleuropein in alloxan-diabetic rabbits. Life Sciences. 2006, 78(12): 1371-1377
  • 32. G Bisignano, A Tomaino, R Lo Cascio, G Crisafi, N Uccella, A Saija. On the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oleuropein and hydroxytyrosol.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1999, 51(8): 971-974
  • 33. H Shibasaki. Anti-Helicobacter pylori activity of olive extract. Kenkyu Hokoku-Kagawa-ken Sangyo Gijutsu Senta. 2004, 4: 81-82
  • 34. PM Furneri, A Marino, A Saija, N Uccella, G Bisignano. In vitro anti-mycoplasmal activity of oleuropein. International Journal of Antimicrobial Agents. 2002, 20(4): 293-296
  • 35. H Shibasaki, H Fujisawa. Study on function of olive oil. 1. Kenkyu Hokoku-Kagawa-ken Sangyo Gijutsu Senta. 2002, 2: 141-143
  • 36. ME Juan, U Wenzel, V Ruiz-Gutierrez, H Daniel, JM Planas. Olive fruit extracts inhibit proliferation and induce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Journal of Nutrition. 2006, 136(10): 2553-2557
  • 37. V Micol, N Caturla, L Perez-Fons, V Mas, L Perez, A Estepa. The olive leaf extract exhibits anti-viral activity against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rhabdovirus (VHSV). Anti-viral Research. 2005, 66(2-3): 129-136
  • 38. B Fehri, JM Aiache, S Mrad, S Korbi, JL Lamaison. Olea europaea L.: stimulant, anti-ulcer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Bollettino Chimico Farmaceutico. 1996, 135(1): 42-49
  • 39. O Benavente-Garcia, J Castillo, J Lorente, M Alcaraz. Radioprotective effects in vivo of phenolics extracted from Olea europaea L. leaves against X-ray-induced chromosomal damage: comparative study versus several flavonoid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Journal of Medicinal Food. 2002, 5(3): 125-135
  • 40. YM Han, S Nishibe, Y Kamazawa, N Ueda, K Wada. Inductive effects of olive leaf and its component oleuropein on the mouse liver glutathione S-transferases. Natural Medicines. 2001, 55(2): 83-86
  • 41. K Hansen, A Adsersen, SB Christensen, SR Jensen, U Nyman, UW Smitt.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 from Olea europaea and Olea lancea. Phytomedicine. 1996, 2(4): 319-325
  • 42. B Fehri, S Mrad, JM Aiache, JL Lamaison. Effects of Olea europaea L. extract on the rat isolated ileum and trachea. Phytotherapy Research. 1995, 9(6): 435-439
  • 43. C Circosta, F Occhiuto, A Gregorio, S Toigo, A De Pasquale. Cardiovascular activity of young shoots and leaves of Olea europaea L. and oleuropein. Plantes Medicinales et Phytotherapie. 1990, 24(4): 264-277

관련이미지 13

이미지목록 이전 이미지목록 다음
이미지 이전

아르베키나 올리브나무(Arbequina Olive Tree)

[네이버 지식백과]올리브나무 [木犀欖, Olive]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3, 2019.06.25,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신용욱, 성락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