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15

참치

풍부한 영양에 맛도 좋은 ‘바다의 귀족’ 참치 이름의 원주인공인 참다랑어가 헤엄치고 있다. 이미지 크게보기 참치 이름의 원주인공인 참다랑어가 헤엄치고 있다. 목차 참다랑어를 참치라 부르는 이유 참치의 종류 풍부한 영양의 건강식품 먹으면 안 되는 기름치 참치는 원래 다랑어류 중 참다랑어를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다랑어류와 새치류를 포함하는 통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다랑어는 분포 수역에 따라 가다랑어, 눈다랑어, 황다랑어 같은 열대성 다랑어와 참다랑어, 날개다랑어 같은 온대성 다랑어로 분류한다. 이외에도 백다랑어, 점다랑어같이 연안에서 서식하는 연안성 다랑어도 있다. 다랑어와 맛이 비슷해 횟감이나 구이용으로 공급되는 새치류에는 청새치, 녹새치, 흑새치, 황새치 등이 있다. 참치의 완전양식은 수정란을 채취..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꼬막

꼬막 1. 개요 2. 상세 3. 주의사항 4. 여담 4.1. 1박 2일에서 1. 개요[편집] 돌조개목 돌조개과에 속하는 조개의 일종. 안다미조개라고도 한다. 보통 "널배" 혹은 "뻘배"라고 하는, 갯벌에서만 쓰이는 배를 타고 잡는다.[2] 2. 상세[편집] 인도양과 태평양에 걸쳐 서식하며 주로 한국과 일본의 갯벌 지역에서 볼 수 있다. 크기는 4~5cm에 둥근 부채꼴 모양이다. 보통 조개와 달리 피가 붉은색을 띠고 있다. 이 때문에 영어 정식명칭도 Blood cockle(피 새조개)이다. 산란기는 7~9월 사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인이 보면 꼬막 종류와 피조개는 같은 꼬막과에 속하는데다 생김새도 비슷비슷하여 구별이 잘 안 된다. 그냥 좀 커 보이면 피조개구나 하는 정도겠지만 크기에 대한 기준도 애..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사새목 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 굴과 백포도주 이미지 크게보기 굴과 백포도주 계 동물 문 연체동물 강 조개류 생활양식 바위에 부착생활 서식장소 조간대의 바위 식용종인 참굴을 말하며 굴조개라고도 한다. 이매패류에 속한다. 한자어로는 모려(牡蠣)·석화(石花) 등으로 표기한다. 굴이 식용으로 이용된 역사는 오래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선사시대 조개더미에서 많이 출토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강원도를 제외한 7도의 토산물로 기록되어 있고, 《전어지》, 《자산어보》 등에는 형태에 관한 기록이 있다.  굴류는 왼쪽 껍데기로 바위 등에 붙으며, 오른쪽 껍데기는 좀 작고 볼록해지는 정도도 작다. 두 껍데기의 연결부에 이빨은 없고, 검은 인대(靭帶)로 닫혀 있다. 껍데기 표면에 성장맥이 판 모양으로 발달하고 돌기나..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크릴새우

고래목 수염고래과의 포유류. 지구상에 현존하는 가장 큰 동물로 알려져 있다. 이미지 크게보기 대왕고래 학명 Balaenoptera musculus 계 동물 문 척삭동물 강 포유류 목 고래목 과 수염고래과 멸종위기등급 위기(EN : Endangered, 출처 : IUCN) 크기 북반구 몸길이 24∼26m, 남반구 최대 몸길이 33m 무게 북반구 약 125t, 남반구 약 179t 수명 최대 약 100년 이상 서식장소 해안 분포지역 북태평양, 북대서양, 남극해 흰긴수염고래 또는 흰수염고래라고도 부른다. 북반구에서는 몸길이 24∼26m, 몸무게 약 125t, 남반구에서는 최대몸길이 33m, 몸무게 약 179t이다. 영어명으로 블루 러퀄(Blue Rorqual)이라고도 한다. 붓으로 살짝 스친 것 같은 잔 무늬가..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옻나무

옻나무는 옻나무과의 낙엽 교목이다. 원산지는 중국에서 히말라야에 걸친 지역이며, 한반도 각처에서 자라거나 재배된다. 생태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편이며, 높이는 10m 내외이다. 나무껍질은 회백색이고 두꺼우며 껍질눈이 많다. 잎은 길이 20-40cm이고 7-19장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홀수깃꼴 겹잎이다. 작은 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표면에 광택이 난다. 5-6월쯤에 잎겨드랑이에서 황록색의 작은 꽃이 송이 모양으로 핀다. 꽃잎·꽃받침 모두 5장이며 암수딴그루이다. 암꽃에는 암술머리가 3개로 갈라진 암술이 있고. 수꽃에는 5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일그러진 구형이고 길이 약 7mm이며 백황색으로 광택이 난다. 재배 후 수년이 지나야 열린다. 쓰임새 수액을 채취하여 도료의 옻칠로 사용하는데, 옻..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돌고래

돌고래는 고래목 이빨고래아목에 속하는 종류로 고래목에서는 가장 인간과 친숙하게 잘 알려진 동물이다. 고래류 중에서 주둥이가 튀어나온 특징이 있다. 인간이 보기에 마치 웃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 돌고래가 항상 즐거울 것이라는 잘못된 오해를 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들은 외관상 주둥이의 모양이 그렇게 생겨 있을 따름이다.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돌고래를 별도로 영어권에서는 포르포이스(porpoise)로 부른다. 여기에는 쇠돌고래, 상괭이, 바키타돌고래, 안경돌고래, 까치돌고래, 버마이스터돌고래의 6종이 있다. 상괭이는 앞 주둥이가 없고 등지느러미가 없어 여타 돌고래와 생김새가 많이 차이가 나는데 이들이 가장 많이 서식하는 곳은 바로 한국의 서해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대표적인 멸종위기 동물 중 하나이다. 목차..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돼지고기의 뒷다리살로 만드는 가공육으로, 보존식품의 일종이다. 영어로 'Ham'은 돼지의 뒷다리살을 의미한다. 햄스트링의 단어 어원이 바로 이 햄이다. 2. 상세[편집] bakedham 돼지 뒷다리살을 통째로 소금에 절인 후 훈연해 겉만을 익힌 후에 통풍이 잘 되는 건조한 곳에 걸어 놓고 적게는 몇 개월에서 길게는 수년 간 방치해 건조 및 발효시켜 만든다. 보관을 위해 소금에 절인 고기류를 나무를 때는 아궁이 위쪽이나 불 위에 걸어놓아 자연스럽게 훈연 건조된 것이 햄의 기원일 것이다. 나무를 때는 집이라면 연기 지나가는 곳에 절인 것을 그냥 걸어 두고 잊고 있으면 저절로 만들어지니, 어찌 생각하면 가장 간단한 저장 식품일 수도 있다. 유럽권 이외에도 중국, 몽골 등에도 비슷한 저장 식품이 있다. 한국만 ..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범고래

범고래 범고래 이미지 크게보기 학명 Orcinus orca (Linnaeus, 1758) 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목 : 고래목 아목 : 이빨고래아목 과 : 돌고래과 식성 돌고래, 물범 등 다른 해양 포유동물, 펭귄 등 조류, 어류 등 특징 모든 고래류 가운데 가장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즉 전 세계 해역에 분포한다. 때로는 강을 거슬러 올라가기도 한다. 형태 : 모든 고래류 가운데 외형적으로 가장 식별이 쉽다. 등 위로 높게 솟아 오른 등지느러미는 특징적으로 암컷의 경우 0.9m, 수컷은 1.8m나 된다. 수컷 성체의 경우 모양은 삼각형이다. 주둥이는 매우 짧고, 앞은 둥글다. 가슴지느러미는 크고 알처럼 둥근 모양을 이룬다. 성체 수컷의 경우 그 크기는 2m에 이른다. 10~..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밍크고래

밍크고래 밍크고래 이미지 크게보기 학명 Balaenoptera acutorostrata (Lacepēde, 1804) 생물학적 분류 계 : 동물계(Animalia) 목 : 고래목 아목 : 수염고래아목 과 : 긴수염고래과 식성 연안 새우류와 군집성 어류 특징 형태 : 일반적으로 대형 긴수염고래류와는 형태적으로 쉽게 구별된다. 머리는 옆이나 위에서 보아도 뾰족하게 나있다. 등지느러미는 높고, 뒤로 굽혀있으며 몸길이의 2/3 정도에 위치해 있다. 주름은 30~70개로 비교적 짧고, 가슴지느러미를 조금 넘는 위치까지 나있다. 수염판은 231~360개로 흰색 또는 회색이 난다. 몸 색은 특징적으로 등은 검은색이 나는 회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가슴지느러미 중앙을 가로지르는 흰 문양이 특징적이나 서식해역에 따라 차이..

카테고리 없음 2024.06.24

가막조개

모시조개(가막조개) 분류 의/식/주 > 음식재료 > 어패류 모시조개(가막조개) 본문 이미지 1 정의 백합과에 속하는 연체동물. 가무락조개 가막조개라고도 한다. 역사 고려 가요에 등장하는 것으로 미루어 일찍부터 식용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 전기의 요리서인 『음식디미방』에 와각탕이라 하여 국 끓이는 법이 수록되어 있어 조선시대에도 애용되던 재료임을 알 수 있다. 활용음식 주로 탕으로 많이 먹는다. 기타 보통 내만(內灣)·내해(內海) 개펄의 진흙 속에 살며 밀물 때 바지락 등과 함께 잡힌다. 바닷물 속의 플랑크톤이나 유기물을 걸러먹고 살며 6∼7월 중에 산란한다. 참고문헌 조리과학용어사전(한국조리과학회교문사 2003) 연관목차 조선시대 식문화 649/985 조선시대 식문화 조선시대 식문화 개요 특징 시절..

카테고리 없음 2024.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