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 344

간뇌

척추동물 뇌의 한 부분으로 대뇌와 소뇌 사이에서 내장과 혈관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관. 간뇌는 많은 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뇌 바로 아래에 있다. 대뇌와 중뇌를 연락하는 부분으로 배면부의 시상과 복면부의 시상하부로 구별된다. 또 간뇌의 뒤쪽에는 송과선이, 시상하부 아래에는 뇌하수체가 붙어 있다. 시상은 모든 감각기로부터 대뇌 피질로 가는 흥분을 중계하지만, 후각신경만은 이곳을 지나지 않는다. 또 대뇌 피질의 활동 수준을 통제하고 있는 조절계 신경로의 중계장소이기도 하다. 시상하부는 대뇌 피질 전체를 조절하는 중추이고, 동시에 내장을 지배하는 자율신경계의 중추이기도 하다. 시상하부는 체온 조절, 혈당량 조절, 삼투압 조절의 중추이고 식욕 · 생식 · 수면에 대한 본능적 욕구의 중추이기도 하다. 특히 시상..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고엽제

고엽제(枯葉劑, 영어: defoliant)는 나무를 고사시키기 위해 살포한 제초제를 말하며 미군이 베트남전 당시 사용한 에이전트 오렌지가 유명하다. 베트남 전쟁에서 살포된 고엽제에는 다이옥신이라는 화학적 불순물이 있는데, 이것은 치사량이 0.15g이며, 청산가리의 1만배, 비소의 3000배에 이르는 독성을 가지고 있다. 이 독소는 분해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되어 10년~25년이 지난 후에도 각종 암과 신경계 손상을 일으키며, 기형을 유발하고, 독성이 유전되어 2세에게도 피해를 끼친다.[1] 고엽제에 노출된 많은 사람들이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으며 생산기업과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벌이고 있다. 개요 고엽제가 개발되고 난 직후만 해도 고엽제의 해악성은 알려지지 않았었다. 베트남 전쟁 동안 《랜치 핸드 작전》(..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신장

인간의 신장(콩팥)은 두 개로 강낭콩 모양의 기관인데 크기는 주먹만하다. 이들은 등쪽 척추 양쪽 체벽에 위치하고 있다. 오른쪽 신장의 상부에는 간이 있기 때문에 그 위치가 왼쪽 신장보다 조금 낮다. 신장의 무게는 체중의 0.5%(신장 1개의 무게는 1백50g 정도, 길이는 약 11㎝, 폭은 5㎝)에 불과하나, 매분 심장에서 방출되는 혈액의 20~25%가 신장을 지나게 된다. 사람의 배설기관 사람의 배설기관 콩팥은 태어날 때까지 전신, 중신, 후신의 순서로 만들어진다. 최초에 나타나는 전신은 1주일 정도에서 퇴화하며 대신 중신이 발달한다. 중신도 후신의 발달에 따라 퇴화해 간다. 신장의 구조는 바깥층인 과립상의 피질과 내층인 수질로 구성되어 있다. 신장의 기능적 최소 단위인 네프론1)은 피질로부터 수질 쪽..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심장

1. 심장의 구조 1) 심방 2) 심실 3) 판막 2. 심장에서 혈액의 흐름 3. 심장 박동 심장은 우리 몸에서 펌프와 같은 작용을 하는 기관으로, 끊임없이 혈액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면서 혈액을 온몸으로 이동시킨다. 1. 심장의 구조 심장은 주먹만 한 크기이며, 두꺼운 근육으로 되어 있다. 심장 내부는 2개의 심방과 2개의 심실로 이루어진다. (2심방 2심실) 심장의 구조 심장의 구조 1) 심방 심방은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받아들이는 곳으로, 정맥과 연결되어 있다. ① 좌심방: 폐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며, 폐정맥과 연결된다. ② 우심방: 온몸에서 온 혈액을 받아들이며, 대정맥과 연결된다. 2) 심실 심실은 혈액을 내보내는 곳으로, 동맥과 연결되어 있다. 심방보다 두꺼운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어 혈액을 ..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공수병

사람의 경우 공수병, 동물의 경우 광견병으로 지칭합니다. 공수병은 현재 제3급 법정감염병, 광견병은 제2종 법정가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개요-신고 대상 및 방법 - 신고범위: 환자, 의사환자 - 신고를 위한 진단기준 •환자: 공수병에 부합하는 임상 증상을 나타내면서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에 따라 감염병 병원체 감염이 확인된 사람 •의사환자: 임상 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을 감안하여 공수병이 의심되나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에 부합하는 검사 결과가 없는 사람 - 진단을 위한 검사 기준 • 검체(타액, 목 피부 조직)에서 바이러스 분리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타액, 뇌조직)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 환자나 의사환자로 판단되면 의료진은 24시간 이내에 관할 보건소에 신고해..

카테고리 없음 2024.06.14

전두엽

대뇌반구의 앞에 있는 부분으로 기억력, 사고력 등을 주관하는 기관 계통 신경계 목차 정의위치형태 및 구조기능관련 질병관련 검사 정의 대뇌반구의 앞에 있는 부분으로 기억력, 사고력 등을 주관하고 다른 연합영역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하는 기관이다. 이마엽의 아랫부분은 눈확의 천장을 이루는 골판 바로 위에 붙어 있으며 뒤쪽에서 마루엽이, 옆쪽에는 관자엽이 위치한다. 위치 머리 안에 위치하며 대뇌반구의 앞에 있는 부분으로, 마루엽의 앞쪽, 관자엽의 앞쪽 위부분에 위치한다. 이마엽(전두엽)의 위치 이마엽(전두엽)의 위치 형태 및 구조 이마엽에서 충동과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뇌이랑은 고랑에 의해서 구분된다. 특히, 중심앞이랑의 뒤쪽에는 중심고랑이 있으며 앞쪽에는 중심앞고랑이 위치한다. 위이마이..

카테고리 없음 2024.06.13

목젖

입을 크게 벌렸을 때 입 안쪽 입천장에 매달린 부드러운 살로 구개수(口蓋垂), 현옹수(懸壅垂)라고도 한다. 2. 위치[편집] 항간에서 많이들 오인하고 있는 것이, 남성의 목 앞부분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은 목젖이 아니라 울대뼈이다. 위 사진에서 가리키는 부위가 진짜 목젖이다. 목 안쪽의 좌우 조직이 하나로 연결되는 단계에서 남아있는 부분이다. 그래서 목구멍을 그릴 때 특유의 형태로 인해 완전한 원이 아닌 U자와 비슷하게 그려진다. 눈에 보이는 위치는 아니지만 목구멍 안쪽과 혀 뒤쪽 방향으로도 목젖이 하나 있는데, 이를 후두덮개라고 한다. 3. 기능[편집] 목젖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음식을 삼킬 때 위로 접히면서 음식이 비강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후두덮개도 마찬가지로 음식을 삼킬 때 기도를 막..

카테고리 없음 2024.06.13

진폐증

폐에 분진이 침착하여 폐 세포에 염증과 섬유화가 일어난 상태 진료과 호흡기내과 관련 신체기관 폐 목차 정의원인증상진단/검사치료경과/합병증 정의 진폐증이란 폐에 분진이 침착하여 이에 대해 조직 반응이 일어난 상태를 말한다. 폐의 조직 반응이란 폐 세포의 염증과 섬유화(흉터)를 말한다. 분진에 노출된 기간이 매우 길고 진폐증 환자가 경험하는 자각 증상을 호소한다거나, 부검 소견에서 폐 조직 내에 축적된 분진이 관찰된다고 하여 진폐증으로 진단할 수는 없고, 폐에 섬유화성 변화 또는 결절성 변화가 있을 때에만 진단이 가능하다. 원인 분진에 노출되었다고 해서 항상 진폐증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분진 작업장에서 동일한 기간 동안 작업하였다 할지라도 어떤 경우는 전형적 진폐증으로 진단할 수 있는가 하면, 다른..

카테고리 없음 2024.06.13

후두엽

목차 1.개요2.구조3.기능4.중요성5.같이 보기/더 보기6.참고문헌 개요 인간의 뇌인 대뇌겉질을 부위에 따라 나눠 크게 구분했을 때 전두엽, 두정엽, 후두엽, 측두엽으로 나누는데 보통 뒷머리를 후두엽이라 부른다. 구조 후두엽은 대뇌의 뒷부분을 구성하며 영역도 가장 작다. 두정엽, 측두엽과는 뚜렷이 구분되어 있지 않다. 후두엽은 소뇌의 위쪽에 위치하며, 소뇌천막이라고 하는 뇌척수막이 함입되어 소뇌와 분리된다. 대뇌의 표면인 대뇌겉질은 얕게 함몰되어 분리된 고랑과 더 깊은 고랑인 틈새가 있다. 뇌틈새와 뇌고랑은 각 반구를 엽으로 나누는 경계선으로 대뇌가 접하고 있는 머리뼈에 따라 전두엽, 두정엽, 측두엽 및 후두엽으로 나눈다. 후두엽은 마루뒤통수고랑과 뒤통수앞패임 뒤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정엽속고랑의 연속..

카테고리 없음 2024.06.13

이비인후과

耳鼻咽喉科 영어 (전문용어): Otorhinolaryngology 영어 (약어): OL[2], Ear, nose, and throat의 약자를 이용하여 ENT라고 불린다. 이를 이용해 이비인후과 의사는 ENT doctor / ENT specialist라고 부른다. 2. 상세[편집] 보통 동네의 이비인후과 의원은 귀, 코, 목질환, 알레르기, 감기 때문에 찾아가 약을 타 오는 일이 많은 과로 알려져 있다. 대학병원급의 이비인후과는 약도 처방해 주지만 수술도 비교적 많이 한다.[3] 귀[耳], 코[鼻], 목[咽喉]에 관련된 질환 전반에 대해 진단, 치료하는 임상 진료과로서 분과(subspecialty)로는 해부학적 위치별로 이과(귀), 비과(코) 및 두경부외과(목)로 나누어져 있다. 이비인후과의 경우 특이하..

카테고리 없음 2024.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