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9 48

백상어

멸종 위기 동물[ 펼치기 · 접기 ] 백상아리(백상어, 백악상어)Great white shark 학명Carcharodon carcharias(Linnaeus, 1758)분류계동물계(Animalia)문척삭동물문(Chordata)강연골어강(Chondrichthyes)아강판새아강(Elasmobranchii)목악상어목(Lamniformes)과악상어과(Lamnidae)속백상아리속(Carcharodon)종백상아리(C. carcharias)멸종위기등급 1. 개요2. 명칭 및 어원3. 생태4. 인간과의 관계4.1. 사육 현황4.2. 신화와 전승5. 대중매체5.1. 영화5.2. 만화5.3. 게임1. 개요[편집]악상어목 악상어과 상어의 일종. 세계에서 가장 큰 포식성 상어 중 하나이다.[1]다양한 상어들 중 대중들에게 가..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초어

십이지 (十二支)[ 한국의 십이지 ] [ 한국 외의 십이지 ] 닭(독, 달구)鷄 | Chicken[1] 학명Gallus gallus domesticusLinnaeus, 1758분류계동물계 Animalia문척삭동물문 Chordata강조강 Aves목닭목 Galliformes과꿩과 Phasianidae속닭속 Gallus종적색야계 G. gallus아종닭 G. g. domesticus1. 개요2. 특징2.1. 울음소리2.2. 비행2.3. 식성2.4. 계란2.5. 병아리2.6. 성장2.7. 수명2.8. 지능3. 천적4. 가축5. 애완동물6. 과학 연구에서의 닭7. 발음8. 문화8.1. 동양8.2. 서양9. 토종닭10. 품종10.1. 산란계10.2. 육계10.3. 투계10.4. 관상계(당닭)11. 상징물로서의 닭12..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십이지 (十二支)[ 한국의 십이지 ] [ 한국 외의 십이지 ] 닭(독, 달구)鷄 | Chicken[1] 학명Gallus gallus domesticusLinnaeus, 1758분류계동물계 Animalia문척삭동물문 Chordata강조강 Aves목닭목 Galliformes과꿩과 Phasianidae속닭속 Gallus종적색야계 G. gallus아종닭 G. g. domesticus1. 개요2. 특징2.1. 울음소리2.2. 비행2.3. 식성2.4. 계란2.5. 병아리2.6. 성장2.7. 수명2.8. 지능3. 천적4. 가축5. 애완동물6. 과학 연구에서의 닭7. 발음8. 문화8.1. 동양8.2. 서양9. 토종닭10. 품종10.1. 산란계10.2. 육계10.3. 투계10.4. 관상계(당닭)11. 상징물로서의 닭12..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거위

거위이미지 크게보기유형생물목차정의내용정의오리과에 속하는 가금(家禽:집에서 기르는 날짐승).내용우리말로는 거유 · 게오 · 게우로 불리었으며, 한자로는 아(鵞)가 표준어로서 가안(家雁) · 서안(舒雁) · 가( 0x954e) · 우군(右軍) · 역(鶃) · 역월(逆月)로도 불리었다. 학명은 Anser cygnoides var. orientalis L. 이다. 거위는 원래 중국에서 개리를 가금화한 것인데, 언제 우리 나라에 전래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820년에 신라아(新羅鵞)를 일본에 보냈다는 기록이 있고, 일본에서는 약 1,500년 전에 거위를 길렀다고 하니 우리 조상들은 이보다 훨씬 전부터 기르기 시작하였을 것이다.야생인 개리와 비슷한 색깔에서 백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색깔의 ..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오리

동물 외의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오리(동음이의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오리鴨 | Duck 학명AnatidaeLeach, 1820분류계동물계Animalia문척삭동물문Chordata강조강Aves하강신악하강Neognathae상목가금상목Galloanserae목기러기목Anseriformes과오리과Anatidae1. 개요2. 특징3. 생태4. 천적5. 사육6. 종류6.1. 야생오리6.2. 집오리7. 식용8. 매체9. 오리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10. 언어별 명칭11. 기타12. 관련 문서1. 개요[편집]기러기목 오리과의 새들 중에서 고니류나 기러기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오리라고 한다. 그러니까 고니류와 기러기류가 오리과 내에서 일부 계통적으로 한 무리를 이루는 특정한 부류에 속한다면 오리는 오리과에서 이들을 제외..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십시오.사람의 신체 부위[ 펼치기 · 접기 ]  뇌의 구조1. 개요2. 언어별 명칭3. 기능4. 연구5. 보호6. 뇌의 진화6.1. 인류의 뇌 진화7. 구조8. 뇌에서 일어나는 장애와 질병9. 손상과 회복9.1. 뇌세포 재생10. 뇌의 성별 고정 androgen brain imprinting11. 속설12. 요리13. 여담14. 관련 문서15. 외부 링크16. 둘러보기1. 개요[편집] 뇌에 대한 설명(2:13~4:10)뇌(腦)는 신경 세포들이 뭉쳐 큰 군집을 이루고 있는 덩어리이며 동물의 중추 신경계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순우리말로는 골이라고 한다.[1]동물의 머리에 위치하며, 동물에 따라 뉴런의 수와 크기가 다르다. 인간 뇌의 뉴런은 연구 결과에 따라 최소 26억 개[2]에서 최대 1,000억 개로 편..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대합

[ silver carp ]요약 잉어목 황어아과의 물고기이며 원산지는 중국이다. 1m에 달하는 대형 종으로 우리나라에 식용으로 도입되었으나 서식 환경이 맞지 않아 양식에 실패했다. 일부에서는 흰빛을 띠는 연어류의 물고기로 잘못 알려져 있다. 강하류나 그 곳과 연결되는 저수지, 댐과 같이 천천히 흐르는 물의 수면 가까이에서 산다.이미지 크게보기백련어(Hypophthalmichthys molitrix)학명계문강목과이칭/별칭멸종위기등급크기몸의 빛깔산란시기서식장소분포지역Hypophthalmichthys molitrix동물척삭동물경골어류잉어목황어아과하꾸렌(ハクレン)(일본어명), 기념어(방언)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40~100cm녹갈색, 은백색6-8월강하류, 댐, 저수지중국, ..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백련어

잉어목 황어아과의 물고기이며 원산지는 중국이다. 1m에 달하는 대형 종으로 우리나라에 식용으로 도입되었으나 서식 환경이 맞지 않아 양식에 실패했다. 일부에서는 흰빛을 띠는 연어류의 물고기로 잘못 알려져 있다. 강하류나 그 곳과 연결되는 저수지, 댐과 같이 천천히 흐르는 물의 수면 가까이에서 산다.이미지 크게보기백련어(Hypophthalmichthys molitrix)학명계문강목과이칭/별칭멸종위기등급크기몸의 빛깔산란시기서식장소분포지역Hypophthalmichthys molitrix동물척삭동물경골어류잉어목황어아과하꾸렌(ハクレン)(일본어명), 기념어(방언)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40~100cm녹갈색, 은백색6-8월강하류, 댐, 저수지중국, 시베리아 동부, 일본, 베트남백련..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설농탕

🥩 한국의 고기 요리  [ 펼치기 · 접기 ] 🍲 한국의 국물 요리 [ 펼치기 · 접기 ]  일반적인 (사골)곰탕1. 개요2. 어원3. 특징4. 종류5. 여담6. 라면7. 관련 문서1. 개요[편집]Beef Bone Soup소의 뼈나 양(羘), 곱창, 양지머리 따위의 국거리를 넣고 진하게 푹 고아서 끓인 국.=곰국.표준국어대사전#소(牛)의 각 부위를 재료로 고아서 끓인 국. 곰국이라고도 부른다.2. 어원[편집]'뭉그러지도록 익히다/진액만 남도록 푹 끓이다'라는 뜻의 '고다'의 명사형 '곰'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곰고기를 넣고 끓인 것이 아니다조선 영조 때 간행된 몽골어 교재인 몽어유해에 몽골에서 먹는 맹물에 고기를 넣고 끓인 것을 '공탕(空湯)'이라고 적고 이를 '슈루'라고 읽었다고 기록된..

카테고리 없음 2024.09.19

곰탕

🥩 한국의 고기 요리  [ 펼치기 · 접기 ] 🍲 한국의 국물 요리 [ 펼치기 · 접기 ]  일반적인 (사골)곰탕1. 개요2. 어원3. 특징4. 종류5. 여담6. 라면7. 관련 문서1. 개요[편집]Beef Bone Soup소의 뼈나 양(羘), 곱창, 양지머리 따위의 국거리를 넣고 진하게 푹 고아서 끓인 국.=곰국.표준국어대사전#소(牛)의 각 부위를 재료로 고아서 끓인 국. 곰국이라고도 부른다.2. 어원[편집]'뭉그러지도록 익히다/진액만 남도록 푹 끓이다'라는 뜻의 '고다'의 명사형 '곰'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이다. 곰고기를 넣고 끓인 것이 아니다조선 영조 때 간행된 몽골어 교재인 몽어유해에 몽골에서 먹는 맹물에 고기를 넣고 끓인 것을 '공탕(空湯)'이라고 적고 이를 '슈루'라고 읽었다고 기록된..

카테고리 없음 2024.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