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679

살구

🍊 과일[ 펼치기 · 접기 ]  살구 나무 살구 열매1. 개요2. 섭취 방법3. 기타 용도4. 개/개고기와의 관련5. 효능 및 부작용6. 종류7. 언어별 명칭8. 여담9. 관련 지명10. 관련 문서1. 개요[편집]살구나무의 열매. 원산지는 흔히 중국으로 알려졌으나, 유전자 분석 결과 최초의 재배는 아르메니아 등 서아시아-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고 추정되고 있다. 맛은 시면서 달다. 대한민국에서 재배되는 살구는 비슷한 종류인 복숭아나 자두보다는 맛의 강도가 약한 편이나, 시골 장터 등지에서 파는 살구의 경우 과육이 충분히 익은 상태이기 때문에 신맛은 거의 없고 단맛이 강하다. 맛은 복숭아의 단맛보다는 다소 연한 편이다. 그리고 크기가 복숭아는 물론 자두보다도 매우 작다. 초파리가 무지막지하게 끼는 ..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팔공산

공산, 부악폰트확대|폰트축소|공유하기|인쇄 미리보기|오류 수정 문의유형분야지명지리/자연지리요약 대구광역시 동구와 군위군 부계면,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목차접기개설명칭 유래자연환경현황개설팔공산(1,192.3m)은 태백산맥의 보현산(普賢山, 1,124m)에서 서남쪽으로 연결된 산이다.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솟아 있다. 팔공산을 중심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산지는 이른바 팔공산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구분지의 북부를 병풍처럼 가리고 있다.산맥은 남동쪽의 초례봉(醮禮峰, 648m)에서 시작하여 환성산(環城山, 811m) · 인봉(印峰, 887m) · 팔공산을 거쳐 북서부의 가산(..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살구나무

살구나무이미지 크게보기살구나무 - Prunus armeniaca L.학명생물학적 분류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계 : 식물계(Plantae)문 : 현화식물문(Magnoliophyta)강 : 목련강(Magnoliopsida)목 : 장미목(Rosales)과 : 장미과(Rosaceae)속 : 벚나무속(Prunus)목차개요국내분포해외분포서식지/생육지형태생태이용 및 활용해설개요집 근처에 심어 기르는 낙엽 작은키나무이다. 높이 5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띠며 햇가지는 적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다. 꽃은 4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꽃받침잎은 5장이며 홍자색이고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5장이고 둥근 모양이다. 열매는 둥근 핵과이고 지름 3cm쯤이며, ..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자두

일[ 펼치기 · 접기 ]  학명Prunus salicinaPrunus domestica(서양자두)Prunus cerasifera(체리플럼)1. 개요2. 역사3. 특징4. 효능5. 섭취 방법6. 상징7. 매체8. 언어별 명칭9. 기타1. 개요[편집]Plum자두(←자도, 紫桃) 또는 오얏(자리, 紫李), 가경자(嘉慶子)는 자두나무에서 열리는 열매이다. 6월에서 7월 초에 수확하며 열매는 식용이 가능하여 달고 과즙이 많아 널리 재배된다.2. 역사[편집]자두의 유적은 신석기 시대의 고고학적 유적지에서 올리브, 포도, 무화과와 함께 발견되었다. 켄 알발라(Ken Albala)에 따르면, 자두는 고대 이란에서 기원했다.화석상의 기록으로는 중국인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2003년 11월에 중국 산둥성의 에오세 초기에..

카테고리 없음 2024.11.07

닭갈비

고기 요리  [ 펼치기 · 접기 ]  춘천식 닭갈비[1]1. 개요2. 명칭3. 역사4. 조리법4.1. 춘천 닭갈비4.2. 물닭갈비4.3. 치즈닭갈비4.3.1. 일본에서의 인기5. 인기1. 개요[편집]닭갈비는 닭고기 중에서도 살코기가 가장 많은 부위인 닭가슴살과 닭다리를 매운 양념에 재워서 야채, 고구마, 떡 같은 부재료를 넣고 석쇠에 구워먹거나 철판에 볶아먹는 한국 요리이다.요리명은 고유 명사이기 때문에 외국어로는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Dakgalbi'라고 쓴다. 실제로 이렇게 표기한 식당도 있다. # 대한민국 국외에서 닭갈비가 유의미하게 인기 있는 일본에서는 '탁가루비(タッカルビ)'로 표기한다.닭갈비는 순살 닭갈비(닭다리살)와 보통 닭갈비(부위는 날개와 갈빗살[2])의 2가지에서 택일하여 고..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물회

수산물 요리  [ 펼치기 · 접기 ]  물회  한국인의 밥상 2011년 12월 8일 방영분 하늬바람 과메기를 만들다 - 포항 과메기 밥상에서 나온 물회 식사 영상[1]1. 개요2. 유래3. 먹는 방법4. 가격대5. 기타6. 관련 문서1. 개요[편집]식은밥을 넣어 마시듯이 먹었던 물회는 포항 사나이들의 음식이었습니다.-한국인의 밥상 2011년 12월 8일 방영분 中회를 여러 양념과 야채와 함께 물에 넣어 버무려 먹는 요리로, 주로 강릉시, 속초시, 동해시, 삼척시 등 강원 영동지방과 포항시, 영덕군, 울진군, 경주시 등 경북 동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많이 먹는다. 겨울에 과메기가 있다면 여름은 물회가 있다고 할 정도로 이 지방에선 자주 먹는 음식이다.경상도는 동해뿐 아니라 남해바다도 있고 남해의 생선회도 유..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장칼국수

한국의 면요리 [ 펼치기 · 접기 ]  장칼국수1. 개요2. 특징3. 농심에서 발매한 라면1. 개요[편집]고추장, 된장 등 소위 '장(醬)'으로 맛을 낸 강원도 영동 지방의 향토 칼국수. 고등어조림처럼 국물이 말 그대로 빨갛다.강릉시에서는 옹심이, 고지국, 초당두부와 더불어 지역 주민들이 사랑하는 상징적인 향토 음식으로 꼽힌다.[1] 부산 시민들의 돼지국밥에 대한 인식과 비슷하다.고추장 양념으로 국물을 내 얼큰한 강릉 스타일의 장칼국수와는 다르게 된장 양념으로 국물을 낸 구수한 원주/춘천 스타일의 장칼국수는 고추장 장칼국수와 또 다른 별미다.2. 특징[편집]영동 지방에서 출발한 음식이다. 강원도 전체로 보면 장칼국수 집이 온갖 곳에 있는 강릉과 같은 영동 지방처럼 흔하지는 않지만 영서 지방에도 장칼국수가..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칼국수

1. 개요2. 역사3. 특징3.1. 면3.2. 국물4. 종류5. 유사 음식6. 김영삼 전 대통령의 일화7. 간편식8. 여담1. 개요[편집]칼국수는 대한민국의 국수로, 칼로 썬 국수를 국물에 담은 탕면류 국수이다.2. 역사[편집]1607년에 집필된 조선시대에서 가장 오래된 요리책인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에 최초로 칼국수의 기원이라 할 수 있는 면요리가 등장한다. '절면(切麵)' 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된 이 요리는 지금의 칼국수와 다르게 메밀을 면 재료로 사용했다.[1] 이후 칼국수의 직계 요리라 할 수 있는 면요리가 1920~1940년대의 베스트셀러 요리책인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이나 30년대의 요리책인 간편조선요리제법 (簡便朝鮮料理製法)에 등장하나, 면을 만드는 방법만 동일하고 칼국수로 ..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죽염

1. 개요2. 역사3. 제조4. 자죽염5. 응용6. 읽을거리1. 개요[편집]소금의 가공품으로, 대나무를 이용하여 구워 정제한 소금이다. 넓게 보면 구운 소금의 일종이다.2. 역사[편집]인산 김일훈의 후손 및 관련자들은 죽염의 기원을 인산 김일훈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인산식 죽염에 한정된다. 왜냐하면 죽염은 1765년에 나온 본초강목습유에도 제조 방법이 기록되어 있고, 실제로 서기 634년(백제 무왕 35년)에 창건된 1300년 고찰인 전라북도 부안군 소재 개암사의 주지들에게 대대로 비전되어 왔다는 증거[1]도 있기 때문이다. 개암사 전 주지 효산(속명 허재근)은 비전된 죽염 제법을 수집 및 정리하여 전통 죽염 제법으로 안정시킨 장본인이며, 이런 역사와 공로를 인정하여 전라북도에서는 1999년에..

카테고리 없음 2024.11.06

아르기린

카복실산[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상세3. 산업적 용도4. 주의사항4.1. 섭취시4.2. 취급시4.3. 보관시5. 논란5.1. 탈모를 가속화한다?5.2. 비아그라?6. 여담1. 개요[편집] arginine (Arg, R)아미노산의 하나. 아르지닌, 알기닌이라도 불린다.[1]헬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주로 혈관이 확장되고 체내 일산화질소가 생성돼 근육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콩나물에 함유되어 숙취 해소를 돕는 성분이다. 아스파르트산이 과거 그렇다고 알려졌으나, 연구 결과 현재 콩나물의 숙취 해소 기능을 담당하는 성분은 아르기닌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래서 아르기닌이 많이 든 콩나물국은 숙취 해소에 좋다.2. 상세[편집]라이신, 히스티딘처럼 아미노기(-NH2)가 2개 있어서 ..

카테고리 없음 2024.11.06